11일 경인일보가 단독 입수한 지난해 4월 극지연구소내 연구원들간 e-메일 송수신 내역에 따르면 연구소는 지난해 각 연구부서의 부장급 8명이 받는 연구장려비(연구과제 수행에 따른 수당)에서 7% 정도를 '성의금'이란 명목의 비자금으로 745만4천원을 조성했다.
앞서 지난 2005년에도 비슷한 규모의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밝혀졌다. <관련기사 3면>
비자금은 L선임 연구부장이 거둬 관리해 왔고, 사용 용도는 공무원 로비에 필요한 비용이나 필요에 따라 연구소 행정부서(경영기획부)에서 기관공동비용 등으로 사용돼온 것으로 알려졌다.
L연구부장이 지난해 4월 각 연구부장에게 보낸 '성의금' 관련 메일을 보면 "저희 연구소의 기관운영상 어쩔 수 없이 공적인 지출금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해결할 방법이 없다"며 "각 계정별 책정된 연구관리비를 기준해 계정별로 7%의 성의금을 모금하려 한다"고 비자금 조성 사실을 밝혔다.
L연구부장은 또 "2005년도 도와주신 성의금은 일괄 경영기획부로 전해져 기관 공동비용으로 처리했음을 통보받은 바 있다"고 밝혀 비자금 조성이 최소한 2년에 걸쳐 이뤄졌음을 시사했다.
L연구부장은 특히 A연구부장이 "매년 관례적으로 공무원 로비(?) 등으로 비자금이 필요한 것 잘 알고 있다. 예년에는 명절때 선물 상납(?)용으로 이해가 갈 정도였다. (그런데) 예년에 비해 올해의 비자금 규모가 수 배로 커졌다"는 질의 메일의 답신 메일을 통해 밝힌 내용은 '성의금'외에도 또다른 로비자금이 조성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L연구부장은 "올해는 연구소 차원에서 공동으로 수행되는 PE나 PP과제(극지연구소 내부의 과제분류 표기)로만 한정시켰기 때문에 그 만큼 액수가 올라간 것이다. 아울러 해양부 사업(PM과제)이 제외된 것은 그 사업 자체 수행을 위해 저희가 모금하는 성의금 정도의 액수 이상으로 수시로 집행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혀 공무원 로비를 위한 성의금 외에도 해양부 사업 추진을 위한 또다른 로비 자금이 마련돼 집행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인했다.
이에 대해 극지연구소 김예동 소장은 "연구원들이 남극과 북극에 나가있는 비정규직 직원들에게 추석이나 설때 선물을 주기위해 십시일반 모금하는 것은 알고 있으나 그같은 (공무원 로비용 비자금 조성은) 일은 전혀 모르는 일"이라고 말했다.
극지연구소란?
한국해양연구원 부설 극지연구소. 지난 2003년 남극 세종기지서 해양탐사를 벌이다 불의의 죽음을 맞은 고 전재규 연구원으로 인해 세인들에게 알려졌다. 그러나 훨씬 이전인 1987년 남극기지 건설 사업과 더불어 창설된 해양연구소 극지연구실을 출발점으로 극지연구부, 극지연구센터, 극지연구본부를 거쳐 지금의 한국해양연구원 부설 극지연구소로 발전했다.
현재는 남극 세종기지 뿐만 아니라 북극 다산기지를 보유한 명실상부한 국제적인 극지연구기관으로 자리 매김했으며, 남극조약협의당사국(ATCP), 국제남극과학위원회(SCAR), 국제북극과학위원회(IASC) 등 관련 국제기구에 적극 참여함과 동시에 저명한 국제학술지를 통해 연구 성과들을 발표해 국제적인 지명도를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