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인일보가 단독으로 확보한 지난해 4월 극지연구소내 연구원들이 주고 받은 e-메일 내용 3편과 관련 첨부파일의 내용을 보면 극지연구소가 매년 연례적으로 연구원들 뿐만 아니라 행정부서 직원들이 조직적으로 '비자금 조성'에 관여하고 있음을 극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특히 극지연구소측은 '비밀 유지'를 위해 비자금을 '성의금'으로 둔갑시키는가 하면 조성자들의 세심한 주의를 당부하는데 이어 연초와 가을 등으로 나눠 1년 중 2회에 걸쳐 로비자금을 사용하는 교묘함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연구원들간의 e-메일 송수신 내용 중 "(첨부한) 내용은 최대한 계정책임자(e-메일 수신자)분들만 알고 계시면 좋겠습니다"라는 것과 "금번(2006년 4월) 일괄 수급할 성의금(로비자금)에서 1월 제출분을 제외한 금액은 경영기획부로 이관, 가을 사용 예정임"이라고 밝힌 대목이 방증해 주고 있다.
극지연구소측은 또 "올해도 마찬가지로 지난해(2005년)와 비슷한 액수인데 이미 말씀드린 바와 같이 330만원 정도를 L박사님이 먼저 처리해 줘, 이는 성의금 전체에서 갚아야할 부분"이라고도 말해 필요해 따라 미리 당겨쓰는 '수법'도 동원되고 있다.
비자금 조성 배경과 관련해서는 "저희 연구소의 기관 운영상 어쩔 수 없이 공적인 지출금이 생기게 되는데 해결할 방법이 없습니다"라고 말하는가 하면 "외부 업무 수행상 불가피하게 영수증 처리 불가한 사항에 대해 재량껏 사용토록 했습니다"라고 밝혀 '비공식적이고, 영수증 처리가 불가한 일'을 하기 위해 비자금을 조성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비자금 조성 방법에 대해서도 극지연구소내 직원들간의 '형평성'이 고려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도 있다.
즉, 각 연구원들마다 수행한 연구과제의 연구비 중 '연구장려비'에 대해 7%씩을 갹출하는 식이다. 2006년 1천500만원의 연구장려비를 받은 Y연구원의 경우 105만원을, 1천100만원의 연구장려비를 받은 L연구원은 85만4천원의 비자금을 각각 내는 것으로 적시됐다.
또 '2006년 비자금 규모가 전년에 비해 커졌다'는 일부 연구원의 지적에 대해 "올해부터 사업수행 형태가 다소 변형되었고, 아울러 해수부(해양수산부) 사업(PM과제)이 제외된 것은 그 사업 자체 수행을 위해, 저희가 모금하는 성의금 정도 이상으로 수시로 집행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혀 2006년 모금한 액수 전체보다 많은 금액이 해수부의 PM과제에 별도 로비자금으로 쓰이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이에대해 극지연구소내 한 연구원은 "1~2년 지난 일도 아니며, 우리 뿐만 아니라 모든 국책 연구과제 수행 연구기관들에 만연된 문제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연구원은 "2006년 '성의금'은 내부적인 문제가 있어 걷지 않았다"고 밝혔으나, 또 다른 연구원은 "다른 방식으로 성의금을 거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