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해가 저물고 있지만 해결의 실마리조차 풀지 못한 현안사업이 수두룩하다. 대부분의 사업이 새해가 밝아도 해결 방안을 찾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인천시는 올해 2014년 아시안게임을 유치하고 '2009 인천세계도시엑스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한 활동에 본격 착수했다. 올 한 해 동안 이들 대형사업을 중심으로 많은 사업들이 인천시내 곳곳에서 벌어졌다.

시가 '프로젝트 매니저'(PM·Project Manager)를 통해 추진하고 있는 사업은 총 224건. 이중 중앙부처와 협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거나 예산 부족으로 지연되고 있는 사업이 적지 않다. 민원과 관련기관 이견 등 이해관계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사업도 많다. <관련기사 3면>

해묵은 갈등을 올해까지 그대로 안고 있는 경우가 있고, 내년에도 어김없이 이슈가 될 사업도 있다. '수인선(수원~인천) 건설사업' '시내버스 준공영제 도입사업' '예비군훈련장 이전, 통합사업'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시는 경인고속도로를 서인천나들목 부근부터 청라지구까지 직선화하고, 기존 구간(서인천나들목~인천기점)을 일반도로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가정오거리 도시재생사업' '가좌나들목 주변 도시재생사업' '인천도시철도 2호선 건설사업'과 맞물려 있다.

시는 지난 2003년 7월부터 일반도로 전환 구간의 관리권 이관을 건설교통부에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있으나 건교부는 부정적이다. 관리권을 이관하는 사례를 남길 수 있고, 서울 방향 구간의 교통처리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게 건교부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관리권을 받지 못하면 고속도로에 손을 댈 수가 없다"며 "가정오거리와 가좌나들목 사업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예산 부족 등으로 '전통민속공예촌 조성사업'은 잠정 무산됐고, '수인선 건설사업'은 공사 일정을 제대로 맞출 수 있을지 걱정이다. 내년도 수인선 건설사업 예산은 요구액(1천500억원)보다 적은 810억원으로 예상돼 정상적인 추진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인천역 주변 도시재생사업' 등 각종 개발사업은 민원 등 이해관계로 인해 삐걱거리고 있다.

인천역 주변 사업의 경우, 시의회가 지구 지정에 반대하는 청원을 채택한 데다, 최근에는 내항을 동시에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됐다. 도시재정비위원회는 지난 5월 지구 지정안에 대한 심사를 보류 처리했다. 올해 안에 지구 지정이 가능할지는 아직 미지수다.

주민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는 '배다리(중구 신흥동 삼익아파트~동구 동국제강) 산업도로 개설 공사'와 '동인천 북광장 조성사업'도 올해 안에 결론이 날 것 같지 않다.

'시내버스 준공영제 도입사업'은 내년에도 시끄러울 수밖에 없다. 시가 세부적인 협의에 들어갔지만 버스노선체계 개편, 표준운송원가 산정 등은 민감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또 준공영제 도입에 반대하고 있는 업체들을 설득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고, 준공영제 도입 이후 시의 재정부담이 가중되는 것도 문제다. 준공영제를 실시하고 있는 타 시·도의 사례와 용역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시는 약 600억원의 재정부담을 떠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