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씨는 "아들이 원하는 고등학교에 입학해 안도의 한숨을 쉬었지만 이젠 입학금에 수업료, 교재비 등을 마련하느라 또 한숨이 저절로 나온다"며 "이중 교복값 부담이 가장 큰 것 같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중·고교생들의 교복값 거품 논란은 올해도 지속될 전망이다. 인천지역 학부모들의 단체인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인천지회(이하 인천참학)는 오는 29일까지 교복공동구매를 방해하는 불공정 거래업체를 신고하는 센터를 운영할 방침이다.
인천참학은 이를 위해 최근 사무실에 센터(032-438-3970)를 설치하고, 학부모들이 신고한 내용은 사실여부를 가려 발표하는 한편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한다는 계획이다.
또 일선 학교와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어떤 교복업체가 공동구매를 방해하고 불공정거래행위를 하는지 실태를 조사할 방침이다. 인천참학 정지혜 사무국장은 "교복업체들 중에는 교복공동구매 입찰에 참여한 후 탈락하자 낙찰된 업체보다 싼 값으로 덤핑을 쳐서 학부모들의 교복공동구매를 방해하는 등 한동안 잠잠하던 교복공동구매 방해행위가 다시 고개를 드는 것으로 우려된다"고 했다.

그러나 B여고는 올해 신입생들의 교복을 17만3천원으로 또 다른 S업체의 브랜드를 공동구매하기로 작년에 이미 결정했다. B여고의 교복공동구매에서 탈락한 S업체가 공개입찰에서 떨어지자 입찰가보다 낮게 덤핑을 치고 있는 것이다.
B여고의 교복공동구매추진위원회 관계자는 "이 업체는 공개 경쟁에서 탈락한 후 마치 재고를 처분하듯이 학생들을 직접 상대로 가격 덤핑을 하고 있다"며 "그렇다면 이 업체는 거품가격과 재고품을 가지고 입찰에 참가한 것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관계자는 "공동구매를 무력화시키려는 대기업의 횡포"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와 관련, 인천시교육청 관계자는 "신입생들을 둔 학부모들을 중심으로 교복 공동구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2006년 8개교에 불과했던 공동구매가 작년에는 58개교로 급증했다"며 "교복값을 두고 학부모와 교복업체들 간의 거품논쟁은 올해도 계속될 조짐"이라고 밝혔다.

일반 의류시장에는 많은 종류의 옷에 대한 다양한 물량의 수요가 시시각각 증감하나 교복은 수요량과 소비 시기(동복 3월, 하복 6월)가 이미 결정되어져 있다. 이에 따라 교복은 다수의 공급자가 특정 시기·소비자에게 판매가 아닌 납품하는 형태로 시장이 형성된다.
특히 교복시장의 소비자는 가격과 품질을 정밀하게 비교하여 소비를 결정하는 합리적 소비자가 아닌 유명 연예인들을 내세운 광고를 보고 감정적인 소비결정을 하는 중·고생들이다. 결국 시장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소비결정을 할 시장구조로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시 교육위원회 노현경 위원은 "최근의 교복공동구매는 이에 대응하며 소비자권리를 회복하려는 노력"이라며 "교복은 모든 단체복과 같이 단체단위로 거래될 때만이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가 적정한 이득을 나눌 수 있는 만큼 교육청과 학교관리자들이 행정지원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