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1 지방선거 이후 열린우리당 기반 붕괴가 확인되면서 수도권 초선의원들이 벌이는 생존경쟁이 몸부림에 가깝다. 142석의 집권여당 의원이지만 지방선거과정에서 이미 전통적 지지기반인 호남출신과 40대, 그리고 이들을 에워싼 여성층이 이탈했다는 '비참한 현실'에 직면했다.
특히 이들은 스스로 전가의 보도처럼 내세운 기간당원제가 민심이반의 결정적 독소로 작용한 현실을 극복하지 못한채 전전긍긍하고 있다. 월간 당비 2천원만 내면 일반당원과는 달리 당내 선거권, 피선거권, 당직소환권이 부여된 점을 악용, 현역의원들과 지방선거에 나설 후보들은 기간당원 모집에 열을 올린 결과, 대중들에게서 완전히 격리됐다는 지적이다.
기간당원제는 지역에선 전통적 지지기반이 우리당으로의 정치참여를 가로막는 '진입장벽' 역할을 하게됐고, 경선에선 대중과 유리된채 그들만의 '코드후보'를 선택하는 기현상으로 나타났고, 당비대납사건까지 일으켜 상향식공천제의 취지는 완전히 망가졌다는 것. 기간당원은 지역과 중앙에서 모두 '특권적 코드 당원'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같은 결과는 5·31 지방선거 참패뒤 우리당의 기간당원 수가 대폭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당의 발표에 따르면 선거전 한때 55만명까지 늘어났던 기간당원수가 25만명에 불과하게 됐다. 당의 한 관계자는 “열린우리당과 참여정부의 코드적 소수만이 참여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 아니냐”라며 “전면적인 개혁없이는 우리당을 또한번 망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5·31 지방선거에서 참패한 수도권 초선의원들에겐 발등에 불이 떨어진 셈이다. 호남출신의 한 수도권 초선의원은 “노무현 대통령을 십자가에 메달아 놓고 당선된 70여명의 수도권 초선의원들 가운데 재선될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라면서 “지역민심은 이미 떠났다”고 단언했다.
이에 따른 수도권 의원들의 생존몸부림이 나타나고 있다. '희망21 포럼', '여성 네트워크', '처음처럼', '안정적 개혁을 위한 의원모임' 등 자구책 모색에 나섰다.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기초단체장 당선자를 배출한 윤호중(구리) 의원은 “인간관계도 정책도 지역구라는 원칙을 세워두지 않으면, 단 한순간에 민심은 떠난다”고 말했다.
지방선거 참패후 지지기반 붕괴 가속 우리당 초선의원 "어쩌나"
입력 2006-06-26 0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6-06-26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