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4기 도지사직 인수위가 30일 업무종료를 앞두고 막판 혼선을 빚고 있다.
도정방침을 확정한뒤 당선자에게 최종 보고하는 절차를 남겨두고 있지만 이를 조율할 인수위원장, 부위원장, 정책위원장 등이 모두 선거판에 뛰어들어 인수위 사무는 뒷전인데다 주요공약도 각종 반대론에 부딪쳐 만신창이가 된 상황이다.

인수위는 당초 29일 각 특위별 활동결과를 최종발표하고 해단할 예정이었으나 계획수정이 불가피하게 됐다.
지난 7일부터 3주간 계속된 인수위의 광범위한 활동을 총괄하고 그 결과를 조율할 인수위 최고책임자들이 모두 선거판에 뛰어들어 얼굴조차 보기 힘든 상황이기 때문이다.
인수위원장을 맡고 있는 남경필 의원과 정책위원장인 임태희 의원은 한나라당 당권경쟁에 뛰어들었고 차명진 인수위 부위원장은 부천 소사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출사표를 던졌다.

당내 소장·중도파그룹인 미래모임 소속 남 의원과 임 의원은 29~30일 후보단일화를 위한 경선을 앞두고 있어 인수위 사무를 돌보기란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다.
이들 두 사람은 인수위원장과 정책위원장으로 한배를 탔다가 불과 3주만에 서로를 딛고 서야하는 치열한 경쟁관계가 됐다.

차 부위원장은 김문수 도지사 당선자의 도청입성으로 공석이 된 부천소사에 출마하기 위해 일찌감치 보따리를 쌌다. 차 부위원장은 지난 12일 예비후보 등록을 마치고 표밭다지기에 여념이 없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인수위 내부에서는 “최소한 마무리는 해줘야할 것이 아니냐”는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더구나 최근 김 당선자의 주요 공약들이 지방의 반발과 각종 반대의견에 부딪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 위원장등 핵심 간부들의 부재는 더욱 커 보인다.

김 당선자가 정치생명까지 걸고 공언한 대수도론은 비수도권의 반발에 부딪쳐 좀처럼 앞으로 나가지 못하고 있으며 팔당호 1급수 달성을 선언하며 발표한 경안천 하구 준설사업도 반론에 부딪히고 있다.
이에따라 인수위 각종 특위도 최종 보고서와 발표수위를 확정하지 못하는 등 혼선을 보이고 있다.
인수위 관계자는 “큰 정책적인 흐름은 위원장과 정책위원장 등이 당선자와 조율해야하는 것 아니냐”면서 “한달 가까이 들인 노력이 허사가 될까 걱정이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