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요원 죽음에 병무청은 무관심?'

인천시 부평구청에서 공익요원으로 근무하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A(23)씨(경인일보 4월1일자 19면 보도)의 장례가 지난 10일 오전 인천가족공원 화장장에서 진행됐다. 유족들은 이날 A씨의 영정을 들고 마지막까지 복무했던 구청 경제과를 찾아 고인의 넋을 위로했다.

하지만 유족들은 병무청의 무관심에 더욱 슬프고 화가 났다. 비록 공익근무요원이었지만 국가의 병역의무 기간중 일어난 사고에 병무청은 유족들을 외면했다.

A씨의 친형(26)은 "동생이 죽은 뒤, 열흘동안 병원 장례식장에 빈소를 마련했지만 병무청에서는 유족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는 물론, 전화 한 통 없었다"며 "군 복무를 하다 일어난 사고에 대해 병무청의 관심이 부족한 것 같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그는 "군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에 동생의 일을 접수했다"며 "동생의 죽음에 대한 정확한 진상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병무청은 그러나 공익근무요원에 대한 모든 지휘·감독관리는 관련법상 근무 기관장에게 일임했다는 기본적인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전국 6천여곳에 이르는 공익근무기관을 모두 관리하기가 어렵다는 설명이다. 또 A씨에 대한 경찰의 수사가 마무리 되지 않은 상황에서 병무청이 나서긴 어렵다고 해명했다.

병무청 관계자는 "A씨의 일에 대한 진행사항을 관할 병무청으로부터 보고 받고 있고 유족들의 주장에 대해서도 파악하고 있다"며 "관련 수사결과에 따라 가혹행위 등 사실이 확인되면 그에 따른 처분이 내려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유족들은 A씨의 죽음이 동료 공익요원들의 집단 따돌림에 의한 것이라며 정확한 진상규명을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