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이성철·김명래기자]경기도교육청과 법적 소송으로까지 번지며 교육계의 거센 반발을 일으킨 경기도 제2청 교육국 설치 논란에 대해 도민 가운데 28.8%는 '현 교육감에 대한 정치적 견제 의도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의 경우 최대 현안인 경제자유구역의 성공적 개발을 위해서는 공감대 형성이 우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도 최대 지역 쟁점 중 하나인 '도 교육국' 설치와 관련, 도민들의 의견을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중 28.8%가 '위법은 아니지만 교육감을 견제하려는 정치적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대답했다.

이어 '도가 교육행정을 지원하려는 것으로 교육권 침해는 과장된 주장'이라는 응답이 24.3%, '도가 지방자치법을 위배하고 교육청 권한과 업무 영역을 침해한 것'이라는 응답이 18.5% 순이었다.

도는 지난 11월 도민을 위한 평생교육과 대학유치 등의 업무를 체계적으로 추진시키기 위한 교육국을 제2청에 설치, 공식 출범했다. 이와 관련, 도교육청은 명칭 중복과 함께 교육 자치 및 고유 권한 침해를 주장하며 교육국 설치를 반대해오고 있다.

조사결과 도 교육국 설치는 결국 김문수 지사가 그간 교육과 일반자치의 통합론을 거론해 온 것과 일맥상통하는 내용으로 도민들의 교육국 설치를 바라보는 부정적 인식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는 경제자유구역의 2단계 사업을 올해부터 시작한다. 다수의 인천시민들은 인천경제자유구역이 실질적 성과를 거두기 위해 가장 시급하게 해결돼야 할 문제로 '국민 공감대 형성'을 꼽았다.

응답자의 32.4%는 경제자유구역에 국제학교·외국인병원이 진출하는 것에 대한 국민들의 공감대 형성이 있어야 한다고 꼽았다. 27.5%는 '외국 기업의 직접투자 유치', 16.0%는 '각종 규제 개혁', 12.5%는 '정부의 의지'라고 답변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을 대한민국 성장동력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여론이 크고, 외국인 투자 유치가 경제자유구역 성공을 이끌 것이란 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서울시민들은 서울광장 사용 제한과 관련, 현행 허가제가 아닌 신고제로 변경할 것을 바라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헌법이 보장하는 모든 행사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신고제로 변경'하자는 응답이 55.1%로 절반을 넘어섰고 '현행대로 문화행사 외에 사용을 제한하는 허가제'를 유지하자는 응답은 40.3%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