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인일보=김명래기자]인천시의회는 최근 조례정비 특별위원회를 구성했다. 시민 생활과 밀접한 조례를 현실에 맞게 가다듬고 불합리한 조례를 개선하겠다는 취지다.
27일 만난 정수영(민노당·남구4) 시의회 조례정비 특위위원장은 "조례정비 특위 활동을 통해 각 분야 전문가, 시민·사회단체와 시의회가 소통하는 계기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조례정비 특위는 내년 9월까지 운영된다. 기획행정위 소관 123개, 산업위 소관 87개 등 모두 425개 조례가 정비 대상이다.
정수영 위원장은 "조례를 정비할 때 시민과 관련 단체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겠다"며 "시민단체도 조례정비 특위 활동에 참여하면서 시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민주노동당 소속으로 첫번째 인천시의원이다. 수도권 3개 시·도 광역의회 첫 지역구 민노당 의원이기도 하다. 그는 '선택적 복지'가 아닌 '보편적 복지'의 가치를 조례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반영하겠다고 했다.
정 위원장은 "복지 분야의 조례가 그동안 수혜 대상 범위를 최대한 제한하는 쪽이었다면, 앞으로는 소외계층 상당수가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향을 고민해 조례에 담겠다"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유연한 진보'를 강조했다. 그는 사안에 따라 공감대가 형성되는 한나라당, 민주당 의원들과 적극적으로 연대하고 있다. 최근 시의회를 통과한 '유통업 상생 협력과 소상공인 지원 조례'는 한나라당, 민주당,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 무소속 의원 11명이 공동 발의했다. 정 위원장은 "조례를 만들때 자기 이름을 올려 홍보하는 것보다, 시민이 필요로 하는 조례를 제도화하고 제대로 시행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건설교통위원회 소속의 정 위원장은 '대형마트 규제', 'GM대우 비정규직 문제 해결', '전교조 중징계 반대' 등 소위 '진보적 목소리'가 시의회에서 나오는데도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정 위원장은 "그동안 시의회에서 잘 다루지 않은 '진보적 현안'을 각 상임위에 적극적으로 소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며 "해당 상임위 의원들을 설득해 문제 의식을 공유하게 하는 일에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