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2학년부터 대학이 학부 정원을 줄일 경우 대학원 입학정원을 늘릴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이같은 조치는 현재 기초학문 중심으로 학과 통·폐합을 추진중인 대학들이 통폐합 명분과 대학원 정원확대 수단으로 악용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1일 최근 4년간 학사과정 재학생 평균 충원율이 95% 이상인 대학이 학사 정원을 1.5명 줄이면 일반·특수대학원 정원 1명을, 학사 정원 2명을 감축하면 전문대학원 정원 1명을 증원할 수 있도록 한 '2012학년도 대학원 정원조정계획 및 설치 세부기준'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교과부측은 대학원의 무분별한 증원을 제한하면서도 대학원 역량 강화를 꾀하는 대학에게 자율적으로 녹색산업, 융합신산업, 소프트파워사업분야 등 신성장동력과 관련된 전문대학원을 중점 육성할 통로를 열어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같은 방침은 현재 학과 통·폐합을 추진중인 대학들이 이와 관련한 학내 구성원들의 반발을 억제하고, 자연스럽게 대학원 입학정원을 늘릴 수 있는 명분으로 작용, 대학 구성원들간의 갈등과 혼란을 부채질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이 방침이 시행되면 대학들은 기초학문중심의 관련 학과 통폐합을 더욱 가속화하고 대학원에 취업에 유리한 실용성학과를 앞다퉈 신설할 것으로 보여 갈등이 우려된다.
앞서 성균관대는 지난 4월 생명공학부 편제 개편과 자유전공학부 모집단위 폐지를 추진하다 학생·교수들의 반발에 부딪혀 백지화했으며 용인 죽전과 천안캠퍼스에 설치된 92개학과를 60개학과로 축소하는 방안을 추진중인 단국대는 학생들과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또한 중앙대도 지난해 '학문단위 조정'을 통해 서울과 안성 캠퍼스에 설치된 유사 중복학과 30개를 통폐합했지만 여전히 혼란을 겪고 있다.
대학 관계자는 "대학원 정원조정계획을 검토하고 있는 중"이라며 "학부의 비인기학과 정원을 줄이면서 대학원 정원을 증원하는 방안도 그 중의 하나"라고 말했다.
/문성호기자
내년부터 학부 정원 줄이면 대학원 정원 확대 가능
비인기 학과 통·폐합 악용 소지… 기초학문 붕괴·취업유리 학과 신설로 갈등 우려
입력 2011-08-11 22:48
지면 아이콘
지면
ⓘ
2011-08-12 22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