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적으로 야권이 강세를 보여온 지역답게 현역 의원이 버티고 있는 여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야권 후보들의 경합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한나라당과 민주당, 민주노동당 등 3파전이 벌어졌던 18대 총선에서 비록 한나라당에 자리를 내주기는 했지만, 야권이 17대 이후 50% 안팎의 높은 득표율을 보인 곳이어서 이번 19대 총선 역시 치열한 각축전이 예상된다.
성남시립의료원 설립과 지역상권 활성화, 구시가지 재개발 등 굵직한 현안들도 산재해 유권자들의 선택에 귀추가 주목되는 곳이기도 하다.
■ 한나라당
현역인 신영수(60) 의원이 재선에 도전한다. 신 의원은 초선에도 불구하고 활발한 의정활동을 벌여온 데다 지역 현안과 행사도 빠지지 않고 챙기며 일찌감치 출마 채비를 마친 상태다.
특히 지역 숙원이던 고도제한 완화에 큰 역할을 하고, 구시가지 재개발사업에도 깊숙이 관여하는 등 4년여간의 뚜렷한 공적이 유권자들에게 어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나라당 내에서 신 의원에 맞서 공천을 노리고 있는 인사로는 장윤영(52) 전 경기도의회 의원이 거론된다. 도의원 시절 지역 현안을 꼼꼼히 챙기며 쌓은 두터운 인맥이 강점이다.
■ 민주통합당 및 야권
민주통합당은 출사표를 던진 후보군들이 '본선보다 힘들다'고 하소연할 만큼 치열한 경쟁구도를 보이고 있다.
우선 17대 때 열린우리당 후보로 당선된 뒤 18대에서 신 의원에 석패했던 김태년(47) 전 의원이 민주당 수정구 지역위원장으로서의 탄탄한 조직력과 인지도를 내세워 복수전을 벼르고 있다.
성남시민사회포럼 공동대표로 지역 여론을 이끌어 온 정기남(47) 전 민주당 정책위 부의장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지역의 크고작은 현안에 참여하며 활발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노사모 출신의 이상호(46) 전 민주당 전국청년위원장도 '서울공항 민간공항 유치 범시민추진위원회'를 출범시키고 민주당의 통합협상위원으로 활동하며 유력한 후보군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민주당 부대변인을 지낸 전석원(51) 시체육회 부회장과 권혁식(50) 성남광역시추진준비위 발기위원장은 예비후보 등록후 정 전 부의장과 3자 정책연대를 형성하는 등 활발한 움직임 속에 공천전에 뛰어든 상태다.
수원지법 성남지원 판사출신의 장영하(54) 변호사와 임정복(56) 전 도의원, 임채철(39) 가감세무법인 공동대표도 민주통합당 간판으로 여의도 입성을 노리고 있다.
통합진보당은 이재명 성남시장당선자 인수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김미희(46·여) 전 성남시의회 의원이 출사표를 던졌다.
성남/배상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