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당원명부 유출 사건 대책팀장인 박민식 의원이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브리핑을 마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박 의원은 이날 브리핑에서 "당원명부 전달 문자발송 업체를 이용한 총선 입후보자들이 여당, 야당 할 것 없이 많이 있다"고 말했다. /뉴스1

새누리당 '당원명부 유출' 사건의 파장이 확대되고 있다.

새누리당 당원 220만명의 명부를 건네받은 문자발송 업체가 지난 4·11 총선 당시 새누리당 총선후보 29명의 문자발송과 전화홍보 업무 등을 대행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새로운 사실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특히 이 가운데 10명은 경선을 통해 공천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공천과정에서부터 이 업체의 도움을 받았을 개연성이 높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10명 중 5명은 낙선하고 5명은 당선됐다.

해당 업체로부터 당원명부를 건네 받은 것으로 확인된 이채익(울산 남갑) 의원과 충북 청주 흥덕을에 출마했다가 낙선한 김준환 후보 역시 이 업체와 문자발송 등 선거업무 위탁계약을 맺은 것으로 전해졌다.

향후 수사결과에 따라 이번 사건의 파장이 일파만파로 확대될 수 있다는 당내 우려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당 지도부는 21일 현재 당원명부가 4·11 총선 공천을 앞두고 예비후보 8명에게 넘어갔고, 이 가운데 2명이 공천을 받아 한 명은 낙선하고 나머지 한 명은 당선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으나 앞으로 그 규모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만에 하나 검찰 수사를 통해 공천과정에서 당원명부가 활용된 것으로 드러날 경우 해당 지역 낙천자들의 '불공정 경선' 주장은 차치하고라도 사전선거운동에 따른 선거법 위반 소지가 제기될 수 있어 파장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핵심 당직자는 "검찰 수사와 별개로 당 차원에서도 계속 사태의 전모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검찰 수사결과를 지켜본 뒤 문제가 있으면 윤리위 회부 등 모든 조치를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당내에선 이번 사건이 당의 쇄신노력에 찬물을 끼얹으면서 대선 가도에 대형 악재로 작용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당장 민주통합당 등 야권은 부정경선을 주장하며 철저한 검찰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당 관계자는 "예상치 못한 돌발악재가 터져 걱정"이라며 "검찰 수사결과를 지켜봐야겠지만 이번 사건이 자칫 대선 가도의 복병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의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