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금자리 주택지구로 지정된 이후 2년 반이 다 되도록 답보상태에 머무르고 있는 광명시흥 보금자리지구가 사업 정상화 계획 지연 등으로 여전히 표류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연내 예정됐던 지구단위계획 수립마저 차질을 빚고 있어 이같은 분석을 더욱 뒷받침하고 있다.
26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이달 말까지 LH가 수립하기로 했던 광명시흥보금자리주택지구 개발사업 정상화 방안의 발표가 늦어질 예정이다. 지구지정 후 자금난을 겪으면서 사업 추진을 중단한 LH는 사업을 정상화하기 위해 지난해 연구용역을 발주, 이달 중 사업방식 다각화와 개발내용 변경, 특화전략 등이 담긴 새로운 개발방안을 발표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사업다각화 방안으로 추진 중이던 민간 참여의 범주와 방법 등이 아직 확정되지 못하면서 개발방안 발표도 그만큼 지연됐다는 게 LH측의 설명이다.
LH 한 관계자는 "보금자리 사업에 민간이 참여하는 것은 광명시흥지구가 처음이어서 보상금 투입이나 개발이익 배분 문제 등에 대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개발방안이 언제 확정될지 지금으로선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현재 LH는 민간 자본을 끌어들여 지구를 분할 개발하는 방안과 주택 수를 줄이고 호텔이나 업무시설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나 부동산 경기침체 탓에 개발방향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업시행자인 LH가 제반 여건 탓에 정상화 계획 수립에 난항을 겪으면서 올해 안에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끝내려던 국토부도 비상이다.
국토부 한 관계자는 "올해 안에 지구단위 계획이 수립돼야 최소한 내년 이후 보금자리주택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최대한 사업을 서둘러 진행하고 있지만 만만치가 않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10년 3월 3차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지정된 광명시흥지구는 부지 규모가 17.4㎢에 달하며 총 사업비 20조원에 토지 보상비만 9조원을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최해민기자
광명·시흥 보금자리지구 전망 '흐림'
LH 사업 정상화 계획 지연… 지정 2년반째 제자리
입력 2012-08-26 23:30
지면 아이콘
지면
ⓘ
2012-08-27 19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