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GCF 사무국 유치전에 뛰어들기로 결정한 것은 지난해 11월 25일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다. 11개월만인 지난 20일 유치에 성공했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남아프리카 더반에서 열린 제 17차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에서 당사국 가운데 처음으로 사무국 유치 의사를 공식 표명했다.
올해 3월에는 국내 입지선정위원회에서 인천 송도를 유치도시로 결정하고, 4월15일 유치신청서를 GCF 임시사무국에 제출했다. 이날 독일, 스위스 등 경쟁국에서는 유치 신청서를 냈다. 한국은 사무실 무상 임대, 900만달러 운영비 지원, 2014~2017년 4천만달러 신탁기금 제공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인천에서는 친환경 자전거 대축제 개최, GCF 사무국 유치를 위한 범시민 지원위원회 출범 등을 통해 유치 열기에 힘을 보탰다. 또한 2020년까지 인천지역 온실가스를 30% 줄인다는 계획 등을 발표하며 GCF 사무국 유치를 위한 사전 준비를 해나갔다. 국회에서도 인천 의원들이 발의한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 대한민국 인천 유치 지지 결의안'을 채택해 힘을 보탰다.
지난달 16일부터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후보국 평가회의에서 독일, 스위스와 함께 법적 이슈, 특권면제, 재정·행정 지원, 입지·여건 등 4개 분야에서 모두 최상위 등급을 받으면서 유치전이 3파전으로 좁혀졌다.
지난 20일 인천 송도에서 열린 2차 이사회에서 6개국을 놓고 득표율이 가장 낮은 국가를 차례로 탈락시키는 '멀티플 라운딩' 방식으로 투표를 벌인 결과 막판에 우리나라와 독일이 살아남았고, 결국 인천 송도가 최종 선정됐다.
/홍현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