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라스무센(전 덴마크 총리) GGGI(글로벌녹색성장기구) 이사회 의장의 '미운오리새끼' 발언이 알려지면서 인천 지역사회가 발칵 뒤집혔다.

GGGI 이사회 의장, 비준 미루는 정치권 비판 발언
국회 청구 감사결과 이달 발표 비준안 통과 불투명
기금 운영 최종 가닥 카타르총회서 문제시 될 수도

GCF(녹색기후기금) 유치로 들뜬 지역에서는 이번 송도 유치의 동력이 된 GGGI 국회비준동의안 처리가 신속히 이뤄지지 않는데 대해 국제사회의 인식이 좋지 않게 흐르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이다.

라스무센 GGGI 의장은 국내의 한 만찬에서 "미운 오리새끼(GGGI)가 백조(GCF)가 됐는데 유독 백조만이 아직도 미운오리새끼로 알고 있다"며 국회를 정면 비판했다. 이 소리를 듣고 있던 정부 관계자는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다고 한다. 유럽 강대국에 맞서 어렵게 따놓은 GCF의 운영 규모를 최종 결정할 12월 카타르 총회(COP18)에서 행여 문제가 되지 않을까 우려했기 때문이다.

현재 국회에 계류중인 GGGI와 GCF사무국은 어떤 관계이며 지금 논란이 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선 18개국이 참여한 GGGI는 지난 2010년 6월 이명박 정부가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싱크탱크인 국제기구를 만들어 향후 GCF 기금에 대한 전략을 마련키 위해 설립한 것이다. 여기에 GTC(녹색기술센터)까지 연계하면 그야말로 세계적인 녹색성장의 기금·전략·기술 등을 아우르며 주도적 역할을 하게된다.

인천지역 사회에서 유엔기구인 GCF 유치에 이어 서울에 본부를 둘 예정인 GGGI와 GTC(서울소재·녹색기술센터)를 모두 인천으로 가져와 그린 삼각편대, 즉 그린 트라이 앵글을 완성하려는 계획을 세우는 것도 이 때문이다. 따라서 청와대가 추진하는 녹색대학원까지 인천 유치에 성공하면 말 그대로 '그린 데탕트'시대를 인천이 주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발목이 잡힌 것은 지난 3년여간 GGGI 운영에 대한 정치권의 부정적 시각 때문이다.

당초 이명박 정부는 수 백조원의 녹색기금을 운영할 GCF 사무국 유치에 동력이 될 GGGI의 공격적 운영에 들어갔고, 금년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 심사에서 GGGI의 방만한 예산 운용과 관리감독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감사원 감사를 청구하게 됐다.

감사 결과보고서는 11월 중순께 나올 것으로 알려졌으나 감사 결과에 따라 비준동의안 처리 여부는 현재로서는 예단할 수 없는 상태다.

이런 논란의 저간에 여야의 정치적 이해가 개입되면서 세계가 경쟁하는 국제기구를 유치하고서도 국제적으론 눈치를 봐야 하는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이제 국회비준안이 중요한 건 아니지만 오는 12월 GCF 기금 운영을 결정할 카타르 총회 등 녹색성장을 이끌어 나갈 주도국의 위상을 찾는게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의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