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엔환경계획(UNEP)은 북한 국토환경보호성과 공동으로 북측의 환경오염 실태를 담은 종합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 보고서는 무분별한 벌목과 석탄을 주로 사용하는 북한의 에너지 공급 체계를 이 지역의 대기, 수질, 토양 오염을 악화시키는 주범으로 꼽고 있다.

이에 따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 국내 연구 기관들은 내년 인천에 입주할 유엔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이 북측의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26일 UNEP 보고서를 인용해 밝힌 바에 따르면 북한은 식량증산과 난방을 목적으로 무분별한 벌목을 진행해 왔다.

황폐화된 산림은 홍수나 가뭄, 산사태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벌목으로 인해 감소된 북측의 산림 면적은 1990년 1천944㎢에서 2005년 3천988㎢로 두 배 가까이나 된다.

대기 오염도 심각한 수준이다. 2008년 연평균 평양의 아황산가스 농도는 0.009PPM으로 자동차와 산업시설이 많은 서울 평균 농도(0.006PPM)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북한의 에너지원별 공급 구조는 석탄이 67.9%, 수력 19.6%, 석유 4.6% 등으로 대기오염을 촉발시키는 석탄을 통한 화력발전이 대부분이다.

하수처리 시설 부족에 따른 북한 대동강의 수질오염도 점점 악화되고 있다. 1999년 대동강의 평균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은 1.25PPM으로 조사됐지만 2008년에는 2.15PPM으로 오염 정도가 심화됐다.

세계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북한의 기후 변화도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다. UNEP는 1971년부터 2006년까지 북한 연간 평균 기온이 10년 단위로 0.38℃씩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 밖에 북한에 서식하고 있는 동물종(9천970여종) 중 46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고 2종은 이미 멸종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같은 북한의 환경 문제는 통일 후 남한을 포함한 한반도 전체의 환경 문제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우리나라 재원으로 안 되면 GCF 같은 유엔기구를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통일국제협력팀 관계자는 "선진국에서 모은 환경 기금으로 개발도상국을 지원하는 GCF야말로 북한을 지원할 수 있는 최적의 국제기구다"라며 "GCF 사무국이 인천 송도에 들어서는 만큼 정부뿐만 아니라 인천시에서도 이런 부분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명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