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미분양 아파트가 확실한 감소세로 돌아섰다. 송도경제자유구역이 미분양 물량을 털어내는 핵심 지역이지만, 남구와 부평구 등 구도심 미분양 아파트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미분양 감소는 GCF 사무국 송도 유치 효과가 부동산 시장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또한 정부가 주택거래 활성화를 위해 내놓은 '9·10 부동산 대책'의 효과도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도 가능하다.

28일 인천시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으로 인천지역 59개 아파트 단지에서 미분양으로 남아 있는 세대는 총 4천343 세대다. GCF 사무국 유치 이전인 9월 말 기준으로는 총 4천586세대였다. 9월에 비해 10월의 미분양 물량이 243세대(5.3%) 줄어든 것이다.

10월 들어서 나타난 미분양 물량 감소추세는 인천지역 부동산 시장에서 무척 중요한 변화로 평가할 수 있다. 그 이전에는 꾸준한 증가추세에 있었기 때문이다. 지난 6월 말 기준, 4천174세대였던 미분양 물량은 7월 말 4천328세대로, 154세대나 늘었다. 이후에도 8월 144세대, 9월 114세대 등의 미분양 증가세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송도의 미분양 물량 감소가 두드러졌다. 9월에 비해 10월 들어 288세대나 줄어든 것이다. 반면, 영종은 미분양이 132세대가 늘었고, 청라는 15세대가 증가했다.

또한 10월 들어서 구도심의 미분양 물량 감소세도 확연하다. 남동구가 35세대로 가장 많이 감소했으며, 남구 31세대, 부평구 22세대, 계양구 14세대 등이 줄었다.

GCF사무국 유치와 부동산 대책 효과가 송도와 구도심으로 퍼지는 반면, 경제자유구역 중 영종과 청라 지역은 아직 영향권에 들지 못한 것이다.

/정진오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