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점 열악해지는 지구환경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제정된 '지구의 날'이 22일로 31주년을 맞았지만 기후변화와 물부족사태, 생물 다양성 감소 등 각종 환경문제는 더욱 악화되고 있다.
지난 69년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발생한 해상 기름 유출사고를 계기로 당시 게이로 넬슨 미국 상원의원이 오염되는 지구를 살리자는 취지로 제정을 촉구, 70년 4월22일 첫 행사를 가진 지구의 날은 이제범세계적인 행사로 자리잡았다.
◇지구온난화:급속한 산업화 과정에서 석유와 석탄 등 화석연료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지구온난화 물질인 이산화탄소(CO₂)와 메탄(CH₄), 이산화질소(N₂O) 등도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지구상의 평균온도는 지난 100년 동안 섭씨 0.3∼0.6℃ 가량 높아졌으며, 주요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농도는 산업혁명 당시 280ppm에서 현재 360ppm으로 증가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위원회(IPCC)'는 최근 발표한 자료를 통해 21세기 화석연료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540∼970ppm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또 오는 2100년까지 지구의 평균기온이 1.4∼5.8℃ 상승하고 해수면은 9∼88㎝가량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현 추세의 지구온난화 현상이 앞으로 1천년간 지속될 경우 그린란드와 남극빙산 융해에 의한 해수면 상승은 3m에 이를 것이라는 예측도 나왔다.
이산화탄소 농도가 배(560ppm) 정도 증가하면 한국의 연평균 기온은 섭씨 2.0∼2.5℃ 상승하고, 여름철 강우량의 변화폭은 -20∼+30%까지 달해 가뭄과 홍수가 빈발할 것으로 우려된다.
◇오존층 파괴: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냉장고 및 에어컨 냉매제 등에 쓰이는 프레온가스(CFCs)와 할론(Halon) 등 오존층 파괴물질 배출량이 증가하면서 오존층이 급격히 파괴되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성층권 오존층의 경우 지난 25년간 6∼7% 정도 감소했으며, 남극에서는 최대 북미대륙 만한 크기의 오존구멍이 확인됐다.
유엔환경계획(UNEP)은 오존층이 1% 감소할 때마다 자외선 투과량과 피부암 환자가 2%, 4%씩 증가한다면서 현재와 같은 상황이 계속되면 앞으로 10년 후 피부암 환자가 약 5억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생태계파괴: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물의 수는 약 175만종으로 추정된다. 생물다양성은 현재 급속히 붕괴되고 있으며 열대우림에 사는 생물의 경우 매년 0.5% 정도씩 사라지고 있다.
오는 2010년에는 약 33%의 생물이 멸종될 것으로 우려된다.
우리나라의 생물종은 약 4만종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현재 호랑이와 원앙사촌, 서로납줄갱이 등 180여종이 멸종위기에 처해있다. 〈연합〉
지구환경 문제,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입력 2001-04-20 0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1-04-20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