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갈등해소센터는 지난달 24∼29일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800명을 대상으로 벌인 '공공갈등 의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92.8%는 한국 사회에서 정부 정책을 둘러싸고 집단 간 갈등이 심각하다고 답으며 특히 여러 유형의 갈등 중 진보세력과 보수세력 간 이념갈등이 가장 심각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89.3%에 달했다. 계층갈등(86.1%), 세대갈등(62.1%)이 그 뒤를 이었다.
센터는 "이전에는 이념갈등보다 계층갈등이 더 심각하다는 인식이 일반적이었다"며 "이번에 이념갈등이 계층갈등을 앞지른 것은 박근혜 정부 들어 여야 간 정치적 갈등이 심화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에서 대통령, 국회 등 11개 집단 가운데 갈등을 일으킨 책임이 크지만 이를 해결하려고 노력하지 않는 집단으로 국회, 언론, 법조계, 재계가 순서대로 꼽혔다.
박근혜 정부의 갈등해소 노력도를 평가하는 문항에서는 '노력하고 있지 않다'는 응답이 60.1%로, '노력하고 있다'는 응답 39.9%보다 높았다.
밀양 송전탑 문제와 관련해서는 응답자의 87.2%가 갈등 수준이 심각하다고 답했으며, 전력 정책 결정과정에 국민 참여를 공론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은 66.3%로 조사됐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