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현지시간)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의 미국 대사관 앞에서,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침공를 규탄하면서 현지인들이 러시아 정부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에 대한 제재를 요구하고 있다. 한편 크림 자치공화국 의회는 이날 공화국을 러시아에 귀속시키기로 결의하고 오는 16일 주민투표를 실시키로 함으로써 우크라이나가 분열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AP=연합뉴스
우크라이나 크림 자치공화국의 러시아 편입 가능성이 국제 사회의 최대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러시아 현지에선 크림반도를 합병하면 러시아가 큰 경제적 부담을 안게 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7일(현지시간) 현지 일간 코메르산트 등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크림반도을 합병할 경우 초기 10년 동안 매년 약 30억 달러의 예산을 투입해야 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5년까지 약 300억 달러가 소요될 것이란 추산이었다.

러시아와 크림반도를 연결하는 교통 및 에너지 공급 인프라를 구축해야 하고 러시아 연방의 한 주체가 된 크림 정부에 대한 재정 지원도 해야하며 약 200만명 크림반도 주민의 사회보장 책임도 떠맡아야 하는 등 지출이 적지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러시아는 이미 지난 3일 크림반도에 60억 달러의 경제 지원을 약속한 바 있다. 50억 달러를 인프라 구축 등에 투자하고 10억 달러는 크림 주민들의 민생문제 해결에 쓰겠다는 약속이었다.

안톤 실루아노프 러시아 재무장관은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총리에게 구체적 지원 방안을 수립하겠다고 보고했다.

러시아 정부는 벌써 지난 10년 동안 논의됐지만 실현되지 못한 크림반도-러시아 남부 연결 다리 건설 사업을 재추진하고 있다. 시공회사까지 선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케르치 해협을 가로지르는 다리 건설에는 약 14억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 정부는 크림반도가 러시아에 편입되지 않더라도 우크라이나 대한 영향력 강화 차원에서 다리 건설 사업을 강행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크림반도 합병에 따른 지출 부담에 비해 러시아가 크림반도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경제적 이익은 크지 않다고 지적한다.

지난 2012년 크림 자치공화국 총생산은 43억 달러로 우크라이나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2.4% 수준에 불과했다. 러시아로 편입되더라도 러시아 GDP에 고작 0.2% 기여를 할 수 있을 뿐이다.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크림반도에 애착을 보이는 이유로 경제적 이익보단 정치·외교·군사적 이해관계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한편 중국 정부는 이날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이 러시아에 대한 제재 움직임을 보이는 데 대해 사실상 반대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