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과 민주당 등 여·야는 10일부터 대한의사협회가 원격진료 등 정부의 의료정책에 반대해 집단 휴진에 돌입하는 것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하지만 휴진사태 해결 방안에는 이견을 보이고 있다.

새누리당은 "법과 원칙에 따라 집단 휴진에 대응하라"고 촉구한 반면, 민주당은 "대화가 유일한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의협의 집단 휴진은 결코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집단 휴진의 철회를 촉구했다.

황 대표는 "의료계의 어려운 현실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국민 건강에 악영향을 끼쳐선 안된다"며 "국민의 생명을 볼모로 하는 불법 행위에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중한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현주 대변인은 구두 논평에서 "정부는 국민의 불편과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철저히 마련하고 비상진료체계를 차질없이 가동해야 한다"며 "대화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되 불법 행동에는 엄중히 대처하라"고 주문했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의료인이 처한 상황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어떤 명분과 정당한 요구도 환자의 건강과 생명에 우선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사태의 근본 원인은 국민과 소통하지 않는 박근혜 정부의 불통과 무능에 있다"며 "강경 일변도의 정부 대응은 사태를 악화시키기 때문에 대화가 유일한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집단 휴진도 우려스럽지만 더 염려스러운 것은 갈등이 극한으로 치닫는데도 손 놓은 집권 여당의 무책임한 태도"라며 "국민 건강을 돈벌이로 전락시키는 의료 영리화는 즉각 폐기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순기·송수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