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West Nile virus)란 뇌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는 뇌염의 일종이다.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란 1938년 우간다의 웨스트 나일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란 뇌염의 일종으로 건강한 성인이 감염되었을 때는 단순한 감기 증상만 보이지만, 어린이나 노약자 등 면역력이 떨어지는 사람이 감염되면 중추신경계를 교란시켜 사망에 이를수도 있다. 치사율은 10~15%.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란 주로 모기에 의해 감염되지만, 말이나 까마귀·참새 등 길짐승이나 조류 등을 통해서도 감염된다.
잠복기는 2~14일로, 고열, 심한 두통, 정신혼란을 비록해 목이 뻣뻣해지고 심각한 근육 이완 등의 증상이 보일 수 있다.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는 사람과 사람사이의 전염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모유수유를 통한 전파를 의심받고 있다.

혈중의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가 뇌로 들어가면 치료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뇌에 유입되기 전에 치료해야 완치가 가능하다.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예방법으로는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철저한 위생관리가 필수다.
한국의 경우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는 법정감염병 제4군에 분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