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가 전 세계적인 에볼라 비상사태를 선포한 가운데 에볼라 바이러스 발생국가가 서아프리카 3개국(기니,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에서 점차 동쪽으로 확산하고 있는 추세다.

나이지리아는 에볼라 바이러스 발생국가인 서아프리카 3개국에서 동쪽으로 1천500km 이상 떨어져 있는 국가다. 

8일(현지시간) 외신은 아프리카 최대 인구국가인 나이지리아에서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자 2명이 추가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오니예부치 추쿠 나이지리아 보건장관은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 환자 2명이 추가로 확인됐다"며 "이로써 나이지리아 에볼라 감염 환자는 모두 9명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확인된 나이지리아의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 환자들은 모두 지난달 나이지리아 라고스에서 에볼라로 사망한 라이베리아 재무부 관리 패트릭 소여(40)와 1차 접촉이 있었던 사람들이라고 추쿠 장관은 설명했다. 

추구 장관은 또 사망자는 패트릭 소여를 포함한 2명, 감염 의심 환자는 6명이며 총 139명이 에볼라와 관련해 특별 감시를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굿럭 조너선 나이지리아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에볼라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한 19억 나이라(121억원)의 긴급 자금 집행을 승인했다. 미국은 나이지리아의 에볼라 대응을 돕기 위해 인력을 추가 지원키로 했다.

유럽연합(EU)은 이날 서아프리카의 에볼라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800만 유로(111억원)를 추가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로써 유럽연합의 에볼라 관련 지원금은 총 1천190만 유로(165억원)로 늘었다. 

EU는 수일 내에 서아프리카 지역에 에볼라 진단 등을 위한 이동식 연구실을 배치할 것으로 알려졌다.

에볼라 바이러스 발생국가인 서아프리카 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을 비롯해 나이지리아에서는 지난 3월 이후 현재까지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1천700건 이상 확인됐으며, 이중 961명이 사망했다. 

한편,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날 에볼라 발병이 "이 병이 발생한 지난 40년 이래 최악의 상황"이라며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