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초고도비만 증가 비만도 계산기 /아이클릭아트 제공 |
15일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일반건강검진 자료 1억여건을 분석한 결과 초고도비만이 2002년 0.2%에서 2013년 0.5%로 12년간 2.9배 증가했다. 고도비만율 역시 2.5%에서 4.2%로 각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에 따르면 초고도비만 증가는 남성보다 여성 쪽에서 조금 더 많이 발생했다. 2013년 여성 중 초고도비만자 비율(0.5%)은 남성(0.47%)보다 높았지만, 고도비만의 경우 반대로 여성(3.7%)보다 남성(4.7%)이 더 많았다.
이 같은 소식에 신장과 체중만 입력하면 비만 정도를 알 수 있는 비만도 계산기에 이목이 집중됐다.
비만도 계산기는 기본적으로 체질량 지수인 BMI(Body Mass Index) 계산법에 근거한 것이다.
BMI 계산법은 BMI 지수 = 몸무게(kg)/(신장(m)*신장(m))으로 간단한 수식에도신뢰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BMI 지수는 키가 작을수록, 몸무게가 많이 나갈수록 커진다.
비만도 계산기를 통해 나온 BMI 지수가 18.5 이하면 저체중, 18.5~23은 정상, 23~25는 과체중, 25~30은 비만, 30~35는 고도비만, 35 이상은 초고도비만으로 나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