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가 출범 이래 처음으로 10구단 체제로 진행되는 등 인기 프로 스포츠들이 새해부터 달라진 규정으로 팬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지난해 퓨처스리그에 속했던 10구단 수원 kt위즈가 올해부터는 1군 무대에 등장해 9개 구단의 프로야구 체제는 끝이 났다. 프로농구는 2015~2016 시즌부터 외국인 선수 2명이 동시에 코트에 설 수 있고, 대신 외국인 선수 신장 제한 제도가 재도입된다. 2015년 을미년 새해에 달라지는 스포츠의 경기 방식 등을 살펴보자.
■ 프로야구
1982년 6개 구단으로 시작한 프로야구가 내년에는 신생구단 수원 kt위즈의 합류로 첫 10구단 시대를 연다.
올해 프로야구는 kt와 통신업계 라이벌 SK·LG와의 대결, 전철망이 발달한 수도권 팀들의 맞대결 등으로 팬들의 재미를 배가시킬 계획이다.
경기 수도 팀당 128경기에서 일본프로야구와 똑같이 144경기를 치른다. 신생팀 kt의 합류로 팀 수가 '짝수'로 맞춰졌기 때문에 3일짜리 징검다리 휴식이 없어졌다.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달리는 6일 체제로 돌아간다.
내년 포스트 시즌은 기존 4강에서 5강 체제로 바뀐다. 메이저리그나 일본프로야구처럼 와일드카드를 도입해 5위 팀까지 '가을 잔치'를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이외에도 144경기의 장기 레이스에 맞춰 경기 시간을 단축하는 방안도 마련됐다.
■ 프로농구
2015~2016 시즌에는 외국인 선수 2명이 동시에 뛴다. 프로농구연맹(KBL)은 다음 시즌부터 2, 4쿼터에는 외국인 선수 2명의 동시 출전을 허용키로 했다.
다만 외국인 선수의 신장 제한 제도가 8년 만에 부활한다. 2명의 외국인 선수 중 1명은 신장 193㎝ 이하로 뽑아야 한다. 과거처럼 장신선수, 단신선수로 나뉘어서 선발되는 것이다.
신장 제한 부활은 최근 농구 인기가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외국인 선수가 단조로운 골밑 공격만 맡는 기존 농구판에 가드, 포워드 포지션을 투입해 기술 농구를 부활시키겠다는 의도다.
■ 프로배구
프로배구 LIG손해보험 배구단은 이달 중순부터 KB금융지주로 이름이 바뀐다. KB금융지주가 LIG손보를 인수한 데 따른 것으로, 프로배구 V리그가 시작된 2005년 이래 팀 명이 시즌 중에 교체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로써 1976년 금성배구단을 모태로 럭키화재, LG화재로 이름을 바꿔 온 LIG손보 배구단은 새로운 팀 명으로 다시 태어나게 됐다.
/신창윤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