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 "현덕지구 공영개발 환영" 목소리… 16년 만에 '앓던 이' 뺀 평택시민
    평택

    "현덕지구 공영개발 환영" 목소리… 16년 만에 '앓던 이' 뺀 평택시민 지면기사

    사업 협약 위반·잦은 계획 변경 등장기간 표류, 주민 재산상 큰 피해 시민단체 "재발방지 대책" 지적도민간사업자 협약 위반, 사업계획 변경 등으로 장기간 표류하면서 주민들에게 재산상 큰 피해를 줬던 '평택 현덕지구 개발사업'이 공영개발 재개로 결정(10월28일자 1면 보도='16년 표류' 현덕지구, 공영개발로 사업 물꼬)되자 평택지역 시민단체들과 시민들이 크게 반기고 있다.다만 16년간 수시로 바뀐 개발계획, 부실한 사업자 선정, 과장 홍보 등에 의한 피해가 재발되지 않도록 확실한 대책·예방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4일 평택시 등에 따르면 현덕지구 개발은 평택 현덕면 장수·권관리 일원 231만6천㎡에 주거·산업·문화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2008년 5월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됐다. 하지만 사업성과 협약 미이행 등으로 인해 사업은 16년간 표류했다. 그동안 우선협상대상자 및 사업시행자는 중소기업중앙회, 대한민국중국성개발(주), 대구은행컨소시엄 등으로 수차례 변경 및 취소됐다. 와중에 소송전도 이어지다가 올해 3월 마무리되면서 사업 재개에 '청신호'가 켜졌다.경기경제자유구역청은 지난달 27일 경기도, 경기주택도시공사(GH), 평택시, 평택도시공사 등 관계기관과 정상화 협의체 및 실무전담조직(TF)을 구성해 수차례 논의 끝에 공공주도의 공영개발로 사업방식을 결정했다.이 같은 소식에 평택시민재단 등 시민단체들과 시민들은 크게 반기고 있다. 공영개발로 현덕지구가 완성되면 평택항 배후도시로서의 기능 소화 등 항만 일대의 경제중심도시로 발전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이들은 "그동안 추진 자체가 불확실한 현덕지구 개발사업을 기다리며 신·증축 등 건축행위 제한, 지역 쇠퇴, 공동체 갈등 등의 피해와 상처에 대한 충분한 복구가 이뤄져야 한다. 개발이익의 지역 환원도 필요하다"는 반응을 보였다.하지만 부정적 의견도 있다. 자고 나면 바뀌는 개발계획의 불확실성, 장밋빛 홍보에 주민 혼란과 피해만 가중되는 고질적 문제, 개발사업의 정치적 고려와 일부 토건세력의 개발이익 추구 등으로 사업이 무분별하게 추

  • 인구 50만 넘은 평택시, ‘자연친화적 종합장사시설 건립’ 필요
    평택

    인구 50만 넘은 평택시, ‘자연친화적 종합장사시설 건립’ 필요

    경기남부 지방자치단체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 중 유일하게 화장장이 없는 평택시에 자연친화적인 화장장이 건립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같은 주장은 평택시가 주최하고 평택시 기자단이 주관해 지난 1일 평택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시민친화적 종합장사시설 건립토론회'에 나온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토론회는 60만 평택시민들의 화장장 부재로 인한 '원정화장' 등의 불편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시의 종합장사시설 건립 추진과 관련된 다양한 의견을 나누기 위해 마련됐다. 김대환 시 복지국장은 “지난해 평택 인구 수는 외국인 포함 63만여 명으로 집계됐고 이중 3천200여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사망자 중 일부는 장사시설 부재로 타 지역 화장장 이용에 불편을 겪어 4~5일동안 장례를 치르는 경우도 발생했다"고 밝혔다. 김 국장은 이어 “시민들 의견과 토론회에서 나온 여러 방안을 반영,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경기연구원 남지현 균형발전지원센터장은 “경기도 내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 중 화장장이 없는 평택시의 경우 '늦게 조성하는 만큼 첨단시설을 갖춘 친환경적 화장장'을 건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범수 전 평택대 교수는 “해외사례를 보면 생활 반경과 화장시설이 입접해 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는만큼 화장시설이 '님비시설'이란 인식이 옅어졌지만 여전히 인식을 개선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며 “토론회를 시작으로 필수시설인 장사시설이 우리 일상생활에 스며들 수 있다는 것을 시민들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기형 시의원은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시민들 사이에 종합장사시설 건립에 대한 공감대가 어느 정도 형성되고 있는 것 같다"며 “시의회도 시민들과 종합장사시설 건립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전국적으로 모범적인 종합장사시설 걸립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