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02001001351500067321.jpg
정계복귀 손학규 민주당 탈당.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가 20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정계복귀의 뜻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손학규 더불어민주당 전 상임고문이 20일 정계복귀와 함께 더민주의 탈당을 선언하는 등 독자세력화에 나섰다.

전남 강진에서 칩거한 지 2년여만에 손 전 고문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정계복귀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의원·장관·도지사·당대표를 하면서 얻은 모든 기득권을 버리겠다. 당적도 버리겠다"고 밝혔다. 탈당계는 기자회견 직후 당에 제출됐다.

그는 강진에서의 생활을 거론하며 "200년 전 다산(茶山) 정약용 선생은 이 나라는 털끝 하나인들 병들지 않은 것이 없다. 당장 개혁하지 않으면 나라는 반드시 망하고 만다고 했다"며 "제 가슴에는 오늘날 대한민국을 향한 경고로 들렸다"고 말했다.

이어 "대한민국은 지금 무너져 내리고 있다. 87년 체제를 만든 제6공화국은 명운을 다했다"며 "지난 30년 동안 조금씩 수렁에 빠졌던 리더십이 이제는 완전히 실종됐다. 제6공화국 체제에서는 누가 대통령이 되더라도 더 이상 나라를 이끌고 갈 수 없다"고 진단했다.

특히 손 전 고문은 "이제 제7공화국을 열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산업화를 성공적으로 이끈 수출주도형 대기업중심 경제구조가 혁신 없이 50년 동안 지속되면서 산업화의 그늘을 짙게 드리우고 있다"며 "고통스럽더라도 우리 경제의 패러다임을 근본부터 바꿔야 할 때"라고 강조하고, 차기 대통령 선거 화두로 '개헌'을 제시했다.

이 같이 발언한 손 전 고문과 '비(非) 패권연대'를 주장하는 김종인 더민주 전 대표, 정의화 전 국회의장 등과의 합종연횡이 가능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송수은·황성규기자 sueun2@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