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권재1
이권재 새누리당 오산시당협위원장
유해성이 큰 경기도내 학교운동장 우레탄 시설이 학생들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할 뿐만 아니라 사용금지로 인한 제2의 피해까지 키우고 있어 학교와 학부모, 지역민들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경기도교육청은 우레탄 시설을 설치해 사용 중인 도내 397개 학교의 실태를 점검한 결과 61%에 해당하는 244개 학교 시설이 기준치를 넘었고, 165개교는 기준치의 10배를 초과하는 수준이었다는 자체 조사결과가 나왔다.

필자가 거주하는 오산의 경우 관내 우레탄 시설 보유 11개 학교 가운데 문제가 된 학교는 초등학교 2개교를 포함 3개 고등학교, 1개 특수학교 등 6개교가 한국산업표준(ks) 기준치의 많게는 76.8배까지 검출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교육청은 이에 따라 인체에 유해한 기준치 이상의 납 성분이 검출된 시설물에 대해 사용금지를 통보하는 등 임시조치를 취하고 있다.

문제는 이들 시설이 인체에 유해하다고 검증된 이상 즉각적인 철거와 사후 관리가 돼야 하나 예산 부족 등으로 대부분 방치되고 있다. 김포 등 일부 학교의 경우 긴급 예비비를 투입, 전면 교체에 들어갔으나 오산을 비롯한 대다수 학교는 방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유해 시설에 어린 학생들이 노출되면서 건강상 심각한 우려와 교내 체육활동에도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주말과 휴일 지역 주민에게 운동장을 개방해온 학교의 경우 트랙과 운동장 등의 시설 사용금지 조치에 따라 학교를 중심으로 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 사업에도 차질을 빚고 있다. 당장 운동장 사용금지로 축구동호회 활동이 옵스톱 됐는가 하면 해체위기에 처하는 등 제3의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우레탄 시설 설치학교 중 절반 이상 사용을 중지한 오산지역 역시 문제의 심각성이 더욱 커짐에 따라 예산확보 등 해결방안을 찾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으나 뾰족한 대안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문제 해결이 요원한 가운데 최근 필자를 비롯 지역 사회를 걱정하는 일부 인사들이 급기야 국회 관련 위원회와 당국을 방문해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하는 등 해결책을 마련해야 하는 지경에 까지 이르렀다.

안타까운 것은 우선 학교 시설물 설치 등 공공예산이 투입되는 이런 사업들에 대한 사전 점검 등의 행정업무가 왜 이렇게 허술한가 하는 의문이다. 시설물 사전 점검에 필요한 기술 혹은 전문 인력이 없는 것도 아닐 텐데 막대한 예산을 이런 식으로 낭비한다는 것은 납득이 가질 않는다. 교육 당국은 차제에 관련 행정시스템 개선을 통해 이런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특히 현재 사용중지로 문제가 되고 있는 우레탄 시설 교체를 위한 예산은 지체없이 확보해야 할 것으로 본다. 문제의 시설은 중금속 범벅인 데다 학생들 면학을 해치고, 건강을 위협하는 상태인데 그냥 놔둘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기준에 맞는 안전한 시설로 교체를 하든 자연친화적인 마사토(굵은 모래)로 대체를 하든지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필자를 비롯한 현장 교육관계자들 대부분의 견해다.

/이권재 새누리당 오산시당협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