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이 13일 오전 서울 연세대에서 발생한 사제 폭발물 사고 용의자 추적에 주력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해당 폭발물은 사제폭탄으로 추정한다"며 "사고현장 폐쇄회로(CC)TV가 없어 주변 CCTV를 모두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사고가 난 제1공학관 1층 출입구가 모두 7곳이고 모든 출입구에 CCTV가 있는 게 아니다"라며 "주변과 위아래층의 CCTV를 중점적으로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은 폭발물이 담긴 상자를 누군가 직접 가져다 둔 것으로 추정하고 교수, 학생, 경비원, 청소부 등 이날 이른 아침부터 건물에 있었거나 드나든 사람들을 상대로 탐문 조사를 벌이고 있다.
경찰은 이번 사건이 개인적 원한 관계에 의한 범행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경찰은 폭발물이 한 연구실 문 앞에 있었던 만큼 범인이 특정인을 겨냥했을 가능성을 집중 조사하는 한편 불특정 다수를 노리고 범행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이날 사고는 오전 8시 40분께 연세대 제1공학관 4층의 이 학교 기계공학과 김 모 교수 연구실에서 발생했다. 김 교수가 연구실 앞에 놓인 상자를 들고 연구실로 들어가 상자를 열려 하는 순간 폭발이 일어났다. 김 교수는 손과 목 등에 화상을 입어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해 치료 중이다.
/양형종 기자 yanghj@kyeongin.com
경찰 관계자는 "해당 폭발물은 사제폭탄으로 추정한다"며 "사고현장 폐쇄회로(CC)TV가 없어 주변 CCTV를 모두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사고가 난 제1공학관 1층 출입구가 모두 7곳이고 모든 출입구에 CCTV가 있는 게 아니다"라며 "주변과 위아래층의 CCTV를 중점적으로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은 폭발물이 담긴 상자를 누군가 직접 가져다 둔 것으로 추정하고 교수, 학생, 경비원, 청소부 등 이날 이른 아침부터 건물에 있었거나 드나든 사람들을 상대로 탐문 조사를 벌이고 있다.
경찰은 이번 사건이 개인적 원한 관계에 의한 범행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경찰은 폭발물이 한 연구실 문 앞에 있었던 만큼 범인이 특정인을 겨냥했을 가능성을 집중 조사하는 한편 불특정 다수를 노리고 범행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이날 사고는 오전 8시 40분께 연세대 제1공학관 4층의 이 학교 기계공학과 김 모 교수 연구실에서 발생했다. 김 교수가 연구실 앞에 놓인 상자를 들고 연구실로 들어가 상자를 열려 하는 순간 폭발이 일어났다. 김 교수는 손과 목 등에 화상을 입어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해 치료 중이다.
/양형종 기자 yang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