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과 인연이 깊은데
현대 시절 한국시리즈 정상 올라
KT 만원관중서 흥행 가능성 확신
■야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아버지 따라 축구를 시작했지만
유니폼 멋있어서 야구부에 가입

이단장은 1994년 신인선수드래프트에서 2차1라운드(전체 1번)에서 태평양 유니폼을 입고 프로에 데뷔한 후 현대를 거쳐 넥센에서 은퇴를 했다.
재정적으로 어려웠던 태평양에서 신인 시절을 보냈고, 현대 왕조의 전성기와 신생팀으로 뛰어든 히어로즈선수단에서는 주장으로서 선수단의 구심점 역할을 했다.
이 단장에게 프로야구팬들은 캡틴, 미스터 쾌남, 마지막 황태자라는 애칭을 붙여줬다.
신생팀 KT의 창단 코칭스태프로 수원으로 돌아온 이번 시즌부터 단장으로서 수원 야구의 붐을 확신하고 있다. 이 단장의 야구인으로서의 철학과 단장으로 꿈꾸는 야구를 들어 봤다.
# 전율을 느꼈던 그 순간, 수원 야구의 가능성을 봤다.

인천을 연고로 했던 태평양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지만 현대 유니폼을 입고 수원에서 현대 왕조의 우승 순간을 함께했다.
이 단장은 "아직도 2015년 3월28일 창단 후 첫 1군 홈 개막전이 열리던 순간을 잊을 수 없다. kt위즈파크에 수원 야구 팬들의 환호성이 울려 퍼질때 발바닥부터 전율이 시작돼 온 몸으로 퍼졌다. 그 모습에 수원 야구의 가능성을 봤고 KT와 함께 계속 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그는 "현대가 목동으로 가기전 수원야구장을 홈경기장으로 사용했지만 당시에는 느끼지 못했던 열기였다.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하던 순간에도 수원야구장은 비어 있었다. 그랬던 수원야구장에 KT라는 신생팀의 첫번째 경기를 응원하기 위해 온, 가득찬 수원 야구팬들의 모습에 감동했었다. 현대 왕조에서 느끼지 못했던 전율을 느꼈고 수원 야구는 분명히 꽃을 피울 것이라고 믿게 됐다"고 했다.
이어 이 단장은 "당시 창단한지 얼마 안된 상황이기에 선수단 자체는 미흡했고 많이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선수단의 실력은 만들어가면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지역의 열기는 쉽게 만들어지지 않는다. 프로스포츠 선수들은 팬들의 관심과 사랑으로 성장한다. 수원의 열기는 선수들이 그라운드에서 재능을 폭발할 수밖에 없도록 이끌어 줄 것이라고 생각했다. 개인적으로는 이 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과 함께하고 싶었고, 완성된 모습을 본다면 정말 행복하지 않을까 생각했다"고 창단 후 첫 홈개막전 경기를 회상했다.

# 유니폼이 멋있어서 시작한 야구선수, 나는 평범한 선수였다.
이 단장의 프로 선수 생활은 화려함과는 거리가 멀었다.
90년대 야구가 투고타저였던 점도 있지만 야구선수로서 이상적인 신체 조건에도 이 단장은 프로야구 선수로 활약했던 18시즌 동안 162개의 홈런만 기록했다.
통산 2천1경기 출전해 이부문 역대 7위에 이름을 올리고 있고 통산 타율 0.281, 통산 안타 1천727개를 기록했다.
자신의 야구에 점수를 매겨 달라고 묻자 "고교때까지는 그저그런 평범한 선수였다. 대학교때부터 야구에 대해 눈을 뜬거 같다. 현대에는 워낙 슈퍼스타들이 많았기 때문에 내 명함을 내밀 수 없었다. 슈퍼스타는 아니었지만 선수로서 나에게 점수를 주라면 B+를 주고 싶다"고 밝혔다.
이 단장은 "사실 아버지께서 축구선수 생활을 하셨기에 저도 축구로 스포츠에 입문했다. 근데 축구부가 없어지고 야구부가 창단 됐는데, 유니폼이 너무 멋있었다. 유니폼이 멋있어서 야구부에 가입했고, 야구를 하다 보니 야구가 재미 있어서 그라운드를 떠나지 않고 지금까지 온거 같다. 그냥 공을 던지고 치고, 수비하는게 좋았다. 유니폼을 입고 있었을때 가장 행복했었다"고 전했다.
캡틴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리더십의 상징이 된 이유에 대해 이 단장은 "주연이 되려고 많은 노력을 했는데, 제 실력이 그정도까지는 안됐다. 주연보다 조연 역할을 했는데, 그 조연 중에서도 살아남기 위해 고민을 했다. 야구는 야구대로 하면서 내가 이렇게해서는 살아남기 힘들다는 생각을 했다. 현대에서 주장을 맡으며 그라운드 안에서 최고의 선수가 되지는 못하지만 동료들과 팬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야구를 하려고 노력했다. 그리고 선수단이 하나가 될 수 있도록 노력했다. 그런 역할을 했기 때문에 구단에서도 이숭용이라는 선수에 대해 많은 것을 준거 같다"고 말했다.
■내 야구에 점수를 준다면
팬들에게 부끄럽지 않으려 최선
슈퍼스타 아니었지만 'B+' 정도
■코치로도 활동했는데
선수와 소통하기 위해 많은 노력
오랜기간 주장했던 경험, 큰 도움
# 선수출신 단장, 그에게 주어진 고민들.
이 단장은 "선수 시절에 부끄럽지 않은 야구를 하자는 게 목표였었다면 코치로 KT의 창단코칭스태프로 합류할때는 '소통하는 야구'를 생각했다. 코치로 선수들과 처음 만났을때 선수들에게 '함께 동행하자'고 말했다. 제 나름의 야구 철학 중 하나는 '코치는 영원할 수 없다'는 것이다. 계약이라는게 있기 때문에 언제 헤어질지 모른다. 코치가 갖고 있는 타격 이론과 야구 이론이 절대적일 수 없다. 그런 상황에서 하나만 옳다고 말하는 건 맞지 않다고 생각했다. 코치는 선수가 본인의 것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래서 '함께 동행하자'고 말했다"고 말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선수들이 마음을 열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선수들에게 다가가고 그 선수를 이해하기 위해 성격과 성향도 파악하고, 가족관계까지 알려고 했다. 서로간에 공감대를 형성하려고 노력했다. 서로간에 공감대를 형성한다는 건 신뢰가 쌓이는 것을 의미한다. 선수시절 오랜기간 주장을 했던 점이 코치로서 생활할때 많은 도움이 됐다"고 덧붙였다.
단장이라는 자리를 꿈꿔 보지 않았기에 지금 이 단장은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
감독과 단장으로 성공신화를 쓴 염경엽 현 SK감독을 비롯해 다른 팀 단장들에게도 많은 조언을 구하고 있다.

이 단장은 "현장에서 선수들과 함께 있을때 몰랐던 부분을 많이 보고 배우고 있다. 코치만 했다면 프런트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몰랐을 것 같다. 프런트라는 자리가 굉장히 힘들다는 것을 알았다. 현장에 있을때는 제가 직접 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현장은 감독님과 코칭스태프에 믿고 맡겨야 한다. 관리 보다는 관심을 갖고 무엇을 해야 현장에서 코칭스태프와 선수들에게 도움이 될지에 대해 고민한다"고 전했다.
그는 "시즌 중에는 프런트와 현장에서 보는 시각이 다를 수 있다. 그럴때 어떻게 지혜롭게 풀어갈지 늘 머릿속으로 시뮬레이션을 하고 있다. 연승을 할때, 연패를 할때, 선수들 또는 코칭스태프가 힘든 상황일때 단장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현장 출신이기에 현장에 부담을 주지 않고 상황에 따라 어떻게 지원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어떤 야구를 보여주고 싶나
KT 선수라는 것에 자부심을 갖고
팬 위해 한발 더 뛰는 모습 보일것
# 초보 단장 이숭용 단장이 꿈꾸는 야구, 그리고 약속.

이어 이 단장은 "유망주들을 육성해 내는 2군은 많은 부분을 바꿨다. 코칭스태프와 시간 날때마다 회의를 했고, KT만의 색깔이 뭔지 같이 고민하자고 했다.코칭스태프와 육성팀이 같이 고민해서 만들어가자고 했다. 하나 하나 만들어 가다보면 KT만의 색깔을 만들 수 있을 거라고 봤다. 현대 출신 선수들이 현대라는 이름에 자부심을 갖듯 KT 선수라는 것에 자부심을 갖는 환경을 만들자고 했다.신인드래프트에서 아마추어 선수들이 KT에 지명 받았을때 환호성을 지를 수 있는 명문 구단이 될 수 있도록 하자고 했다. 파트별로 육성쪽에서는 다양하게 프로그램을 짜고 있다. 체계화가 돼서 기본기, 팀에 대한 자부심을 갖게끔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KT는 1군 데뷔 5년차인 팀이다. 신생팀이라는 색깔을 가지면 안된다. 상대팀과 싸울 수 있는 힘을 갖춰야 한다. 그 힘을 극대화 시켜서 성적이라는 것으로 팬들에게 보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이 단장은 "수원 팬들은 열정적이다. 한발 더 뛰는 야구로 팬들이 원하는 성적과 야구를 보여주고 싶다. 팬들의 기대치를 저희가 높여 드려야 한다. 수원야구의 봄이 시작될 수 있도록 그라운드에서 선수들이 활약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 팬들께서도 그라운드에서 선수들이 최선을 다할 수 있게 많은 격려와 박수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글/김종화기자 jhkim@kyeongin.com 사진/강승호기자 kangsh@kyeongin.com
■이숭용 단장은?

▲ 프로입단 : 1994년 2차 1라운드 지명(전체 1번, 태평양)
▲ 통산 성적 : 2천1경기 출장(역대 7위), 타율 0.281, 안타 1천727개, 홈런 162개
▲ 소속팀 : 태평양(1994~1995)-현대 (1996~2007)-우리(2008)-히어로즈(2009)-넥센(2010~2011)
▲ 지도자 경력 : 수원 KT 타격코치 (2014~2018)
▲ 프런트 경력 : 수원 KT 단장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