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시의회 "함백산 메모리얼파크 건립 적극 지원" 이례적 입장표명
망포4지구·반정2지구 경계조정도 순항… 화성시, 시의회에 검토 요청
오산·수원·화성시가 진정한 의미의 '상생'에 성큼 다가섰다.
여러 이해관계가 얽혀있던 갈등의 실타래가 지난해 3개 도시의 '산수화 상생협약' 체결 이후 차츰 풀려가는 모양새다.
특히, 지자체 간 해결점을 찾지 못해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제기됐던 수원과 화성의 경계조정마저 최근 급물살을 타면서 이들 도시의 상생 행보에 거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수원시의회는 지난 26일 화성시가 추진 중인 '함백산 메모리얼파크' 건립사업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공식입장을 내놨다.
함백산 메모리얼파크는 화성·부천·광명·안산·시흥·안양시가 사업비를 분담해 화성시 매송면 숙곡리 일대에 화장로 13기와 봉안시설 등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사업부지에서 2㎞ 떨어진 곳에 거주하는 호매실지역 주민들이 "유해물질 유입이 우려된다"며 반대해 지자체 간 갈등으로 번졌다.
해당 사업은 서수원 주민들이 화성시장을 상대로 낸 '도시관리계획결정처분취소' 소송이 기각당하는 등 반대명분이 사라진 상황이지만, 현재 일부 주민들이 반대 의견을 내고 있어 의회 차원의 이 같은 입장표명은 상당히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수원시의회가 이 같은 결정을 내린 배경에는 지난해 11월 3개 도시가 체결한 '산수화 상생협약'이 있다.
조명자 수원시의회 의장은 "상생을 하겠다면서 각자 도시의 이익만 생각하는 건 옳지 않다는 판단에 따른 결정"이라며 "수원 망포4지구와 화성 반정2지구 간 경계조정 협의도 고려했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현재 수원과 화성의 경계조정은 "망포4지구 19만8천㎡ 부지를 반정2지구의 동일한 면적으로 맞교환한다"는 경기도 중재안 내용으로 이견 없이 합의하는 단계까지 나아갔다.
더 나아가 이달 초 화성시는 화성시의회에 해당 합의안을 검토해달라고 요청한 상황이다. 지방자치법상 행정구역 경계 변경은 지방의회의 의견청취가 필수다.
이에 대해 화성시 관계자는 "의회가 검토한 내용을 보완하는 등 수원시와의 최종 협의 이후 공식적인 의회 의견청취 단계로 넘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대화조차 할 수 없던 상황에서 산수화 상생협약 이후 지속적인 만남과 협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경계조정은 시의회 의견청취 이후 경기도, 도의회를 거쳐 행정안전부 승인 등 절차를 밟게 된다.
/김학석·배재흥기자 jhb@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