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생충학자인 서민 박사의 위트 넘치는 칼럼이 너무 재미있어 그의 책을 읽어본 적이 있다. '기생충 열전'이란 책이다. 아니나다를까 몇 장 넘기기도 전에 낄낄거리고 말았다. 일반인을 위한 기생충 교양서가 몇 권 안 되는 것에 아쉬움을 느끼던 중 '기생충'이라는 책을 새로 발견하고 반가운 마음에 펼쳐보았는데, '충'이라는 이름을 가진 기생의 이야기였다는 대목에서다.
서 박사가 풀어놓는 기생충 이야기는 흥미롭다. 친절하게도(?) 온갖 기생충 사진을 배치하는 바람에 간혹 책장 넘기기가 두려워지는 점만 빼고는 예방을 위해서라도 한 번 읽어볼 만하다. 그는 기생충의 변호사라 해도 무방할 듯 싶다. 한 예로 세상에 뚱뚱한 사람은 있어도 뚱뚱한 기생충은 없다고 단언한다. 자기 분수를 지켜서 먹기 때문이란다. 또 기생충 박멸 이후 사람에게서 알레르기나 자가면역질환이 늘었다며, 이는 갑자기 상대가 없어진 면역계가 우리 몸을 공격한 결과라고 부연한다. 이쯤 되면 기생충과 '상생'을 하라는 것인지 가늠이 안 간다. 물론 기생충을 옹호(?)만 하는 것은 아니다. 각 기생충을 설명할 때마다 위험도를 비롯해 감염증상과 감염원 등을 별도로 소개하면서 경각심을 주는 것을 잊지 않는다.
'이 기생충 같은 놈아'라는 욕이 적당한 욕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 부분은 일종의 블랙코미디다. 기생충이 자발적으로 일을 안 하려는 데 비해 집에서 놀기만 하는 사람은 일을 하고 싶어도 마땅한 일자리가 없는 탓에 백수가 된 거니, 기생충을 갖다 붙일 일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기생충이 '본의 아니게' 우리 사회의 아픈 부분을 상기시킨 셈이다.
영화 '기생충'이 오늘 개봉한다. 줄거리를 보니 갖가지 기생충이 등장하는 '기생충 열전'과 달리 영화에서는 기생충의 왕이라는 회충 한 마리 '출연'하지 않는 것 같다. 기묘한 인연으로 얽힌 백수 가족과 부자 가족을 통해 현대 사회의 양극화 문제를 다루었다는 설명으로 미뤄 기생충은 봉 감독 특유의 은유일 것이다. 황금종려상 수상 소식을 접하면서 기생충 열전이 떠오른 것은 영화 줄거리와 책에서 엿본 블랙코미디적 요소 때문이 아닌가 싶다. 봉 감독은 기생충에 대해 '인간에 대한 예의와 존엄에 관한 영화'라고 했다. 그렇다면 영화는 '기생'을 넘어 '공생' 또는 '상생'에 대해 화두를 제시할 것으로 추측된다. 그래서 더 보고 싶다.
/임성훈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