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7대 총선을 앞두고 한나라당은 침몰 직전의 난파선과 다름없었다. 이회창 후보의 거듭된 대선 패배와 노무현 대통령 탄핵 역풍으로 한나라당은 한마디로 만신창이였다. 2004년 4월 공천심사위원회가 구성되자 세간의 관심은 위원장인 김문수(경기지사), 부위원장 안강민(전 서울지검장)이 아니었다. 위원으로 이름을 올린 작가 이문열씨였다. 그는 당이 5·6공 인사를 공천하려 하자 "이러다 당이 망한다"며 대대적인 물갈이를 요구했다. 하지만 개혁은 여의치 않았고 한나라당은 열린 우리당에 참패했다.
우리나라 작가 중 이문열씨 만큼 사회적 현안에 대해 활발하게 자기 목소리를 내는 사람도 드물다. 사회적으로 현안이 있을 때마다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자신의 소신을 밝혀왔다. 스스로 '보수꼴통'을 자처하는 그는 신문 칼럼으로, 때론 작품을 통해 자신의 정치적 의견을 밝혔다. 그래서 이씨에 대해선 용기 있게 소리를 내는 작가, 지나치게 정치화된 작가라는 꼬리표가 늘 따라다닌다.
이씨의 정치적 소신이 가장 강하게 드러난 건 2002년 '세계의 문학'에 4부작으로 연재하며 문학적 평가보다 정치적 논란을 일으킨 '호모 엑세쿠탄스'(처형하는 인간)일 것이다. 이씨는 이 소설에서 2002년 대선 이후의 한국 상황에 대해 '민족도 이념도 순식간에 블랙홀처럼 빨아들이는 국가주도형 포퓰리즘이 게거품을 뿜었다'고 묘사하거나, 햇볕정책을 '핵이란 비대칭 전력을 보유한 북한에 모래성 같은 경제적 우위를 앞세워 어디 사용될지도 모르는 현금을 몇억 달러씩 갖다 바쳤다'고 썼다. 또 '시민운동이 엽관의 수단이 되고 관직은 감투에 눈먼 386 홍위병들의 전리품이 됐다'며 시민단체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 때문에 우리 문화계에 수치로 기록될 '책 화형식'이라는 끔찍한 일을 당하기도 했다.
8일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이천 설봉산 자락 이씨의 문학 사숙(私塾) 부악문원 (負岳文院) 을 찾으면서 잠시 잊혔던 그가 세간의 관심을 받았다. 두 사람은 '보수정치'를 두고 1시간가량 대화를 가졌다. 이문열은 뛰어난 문학적 재능과 잠재력이 지나친 정치적 관심 때문에 낭비되고 있다는 지적을 그동안 꾸준히 받아왔다. 하지만 작가가 정치적 신념을 내세운다고 해서 비판을 받는 건 옳지 못하다. 이날도 그는 황 대표에게 "당에 쳐내야 할 사람들이 아직 남아있다"며 2004년 공심위 때처럼 인적 쇄신을 강조했다.
/이영재 논설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