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하다 건강 나빠져 요양 음악다방 매일 찾으니 DJ 제의받아 '유명세'
1980년대 디스코텍에 밀리며 음반기획사行… 대박·손해 '우여곡절'
인천 돌아와 '비틀즈' 운영 신청곡 들려주며 가슴 따뜻한 여행 이어가

1960~1980년대 젊은 세대에 큰 영향을 끼친 포크 음악을 주제로 한 '제1회 신포동 포크 음악축제'가 지난 12일과 13일 저녁 신포시장 인근 문화의 거리에서 펼쳐진 것이다.
인천 출신 가수 백영규씨가 기획과 연출을 맡은 이 축제는 거리를 가득 메워준 지역 주민과 음악팬들의 큰 호응 속에 막을 내렸다.
성공 요소들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1980년대 '음악다방'을 무대에 소환한 점이 성공의 요소 중 하나였다. '음악다방'이 관객들의 옛 추억을 상기시켰고, 그만큼 호응도 컸던 것이다.
그 중심에는 1970~1980년대 인천을 주름잡던 디스크자키(DJ) 김유철(62)씨가 있었다.
축제의 오프닝을 맡은 김유철씨는 무대에 재현된 DJ 박스 속에서 당시를 떠올리게 하는 정겨운 멘트와 가수 소개로 관객들을 미소짓게 했다.
특히 옛 인기 드라마 '아들과 딸'에서 도끼빗 DJ(준이 오빠)로 출연했던 인천 출신 배우 윤철형씨가 김씨의 후배 DJ로 출연해 무대 위 DJ 박스 안에서 나누는 대화는 옛 DJ 문화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어 팝페라그룹 엘루체의 리더가 김씨를 찾아와 새로 나온 음반을 건네며 꼭 좀 소개해달라고 부탁하는 모습도 수십년 전 모습이었다. 이에 김씨는 축제 무대에서 엘루체가 부를 'Perhaps Love'를 멋들어지게 소개하면서 관객들을 음악의 세계로 안내했다.
김씨에게 30여년 전 우리 대중 문화에 영향을 끼친 DJ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었다.
지난 21일 오후 김씨가 운영하는 인천문화예술회관 인근 뮤직카페 '비틀즈'에서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4년째 '비틀즈'를 운영하고 있는 김씨는 벽을 가득 메운 9천여장의 LP판들 앞에서 옛 DJ 방식으로 그날의 날씨를 언급하고, 곡 해설을 하면서 손님들의 신청곡을 들려주고 있다.

그는 "아날로그 감성을 원하는 분들에겐 LP판으로, 깨끗한 음질을 원하는 분들에겐 컴퓨터 파일화 되어 있는 곡을 틀어주고 있다"면서 "멘트는 그날그날 옛 뮤지션들의 기념할 만한 일이 있었는지를 챙기고, 당일 날씨 등을 토대로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평도에서 태어난 김씨는 인천기계공고에 입학하면서 뭍으로 올라와 생활했다.
고3 때 울산현대조선소로 취업 나갔다가 용접 때 발생한 가스를 많이 마신 관계로 건강이 나빠지면서 인천으로 돌아왔다.
"당시 회사에서 취업 중 장기요양으로 처리를 해준 덕분에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되는 상황에서 선배들과 어울려 동인천의 음악다방에 매일 출근하다시피 했어요. 하루 종일 음악만 들었던 거죠. 그런 모습을 눈여겨본 석다방의 DJ 선배들이 제의를 해왔고, 그렇게 새끼DJ 생활이 시작되었어요. 하지만, 마이크는 잡아볼 수 없었고, 6개월 동안 LP판만 정리하고 음악실 청소만 했어요. 그러다가 차츰 마이크를 잡을 기회가 생겼는데, 그때의 감격은 이루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였죠."
이후 꽤 잘나가는 DJ가 된 그는 돈도 많이 벌었다. 유림다방, 석화다방, 2001음악다방, 혜성음악다방, 심지음악감상실, 대동분식 등은 그가 DJ로 활동했던 곳이다.
"일했던 다방에 손님들이 몰리면서 단박에 유명세를 탔죠. 여성팬들의 열광적인 선물 공세가 이어졌고요. 노래 한 곡을 신청하기 위해, 정성껏 그리고 오려 붙인 신청엽서들이 날마다 쏟아졌죠. 유명 가수들조차 새 음반이 나오면 제일 먼저 전국의 유명 음악다방을 돌며 직접 곡을 선보이곤 했어요. 음악다방에서 먼저 입소문을 타야 방송순위진입이 가능했을 정도였죠. 당시에는 음악을 향유할 수 있는 통로가 음악다방이 거의 유일했거든요. 물정 모르던 젊은 혈기에 기고만장하기도 했었죠."
1983년 심지음악감상실을 직접 인수한 김씨는 에피소드 음악감상실로 간판을 바꿔달고 경영했는데, 1년 만에 후배에게 넘기고 말았다.
1980년대 들어서 디스코텍이 생겨나면서 음악다방은 하나둘 카페로 바뀌었다. DJ들도 디스코텍으로 자리를 옮기던 상황이었다.

김씨는 여의도에 있는 음반기획사로 자리를 옮겼다.
음악에 대한 열정과 박식함은 음반제작자로 인정 받기에도 충분했다. 1985년 인천 출신 그룹 '솔개 트리오'의 앨범 제작을 시작으로,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 지정곡인 윤항기의 '웰컴 투 코리아', 1987년 도시의 아이들의 '달빛 창가에서'를 제작했다.
"'달빛 창가에서'는 대박 났죠. 인천 출신 작곡가 김창남이 박일서 형과 함께 '도시의 아이들'이라는 그룹을 만들어 대박을 친 거죠. 덩달아 저 역시 잘 나갔어요. 하지만, 세상일은 한치 앞도 모르는 거더군요. 1989년 PD들이 유흥업소에서 접대 받은 게 기사화되면서 인기 기획사를 대상으로 수사에 들어갔고, 회사는 문을 닫아야 했죠. 1990년 솔개트리오를 재결성해 3집 앨범을 제작했지만, 반응이 신통치 않았어요."
이후 김 사장은 영화에 지분 투자했다가 손해를 봤으며, 2000년이 지나고 인천으로 돌아와 학익동에 규모가 제법 큰 음악카페를 냈다가 다시 손해를 봤다. 2016년 3월 '비틀즈'를 열었다.
"이 공간은 음악 좋아하는 제가 혼자 운영할 수 있는 규모에요. 요리 부분은 아내가 도와주고 있고요. 단골들이 꽤 되기 때문에 좋은 음악과 함께 즐겁게 비틀즈를 운영하고 있죠."

"세월이 많이 흘렀고 세상은 변했지만, 처음 나를 품어줬던 음악들은 지금도 그대로"라는 김씨의 바람은 음악에 재능이 있고, 즐기는 사람들의 무대를 만들어서 꿈을 펼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다.
"이 공간 한 편에 작은 무대가 있는데, 밴드가 공연하기에는 다소 좁아요. 밴드가 설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이 곳보다 조금 더 큰 곳에서 가슴 따뜻한 음악여행을 이어갔으면 합니다."
글/김영준기자 kyj@kyeongin.com 사진/김용국기자 yong@kyeongin.com
■DJ 김유철은?

고교 졸업한 1975년부터 본격적으로 DJ 생활을 시작, 당시 동인천 지역의 유림다방, 석화다방, 2001음악다방, 혜성음악다방, 심지음악감상실, 대동분식 등에서 DJ로 활동했다.
1984년 음반 제작자로 변신해 이듬해 '솔개 트리오'의 앨범제작을 시작으로 1986년 윤항기의 '웰컴 투 코리아', 1987년 도시의 아이들의 '달빛 창가에서' 앨범을 제작했다.
1998년 한국포크송연합회 상근 홍보이사를 2년 동안 했으며, 2016년부터 음악카페 비틀즈를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