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LH사태 관련 일제조사에
관내 재개발지역까지 범위 확대도
민주당협의회, 제보창구 개설 제안
성남시가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추진 중인 관내 공공택지지구 및 3기 신도시와 관련해 산하기관을 포함한 전 직원의 부동산 투기 여부에 대해 전수조사를 하기로 한 가운데 성남시의회 여당이 시의원들도 포함시킬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성남시는 LH 직원들의 투기 의혹 사태와 관련, 15일부터 시 소속 공직자와 산하기관 임직원 등 7천여명 전원에 대한 토지거래 내역 일제 조사에 착수한다. 은수미 시장 지시에 따른 조치로 경기도에서는 시흥·광명·안산시에 이은 4번째다.
조사대상은 관내 주요 공공택지개발지역과 3기 신도시 지역의 토지(건물)매입 내역이다.
성남시에서는 현재 '금토지구'(금토동 일원 58만2천961㎡·3천255가구), '복정1지구'(창곡동 일원 57만7천708㎡·4천489가구), '복정2지구'(신흥동 일원 7만7천750㎡·1천200가구), '서현지구'(서현동 일원 24만7천631㎡·2천500가구 이하), '신촌지구'(신촌동 일원 6만8천391㎡·1천31가구), '낙생지구'(동원동 일대 57만8천434㎡·4천291가구) 등 6곳에서 LH가 주도하는 택지·공공주택개발사업이 진행 중이다.
시는 위법 사례가 확인될 경우 수사의뢰 등 엄중히 책임을 묻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성남시의회 여당은 관내 재개발지역까지 범위를 확대하고 시의원들도 투기 조사 대상에 포함시킬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시의회 더불어민주당협의회는 지난 12일 입장문을 내고 "성남시의 경우 금토, 복정, 서현지구 등의 택지개발과 원도심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시의원과 공직자들의 토지거래 전수조사와 함께 제보 창구를 개설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협의회 마선식 대표의원은 "시민들에게 신뢰와 믿음을 드리기 위해서는 공직자뿐만 아니라 시의원들도 조사해야 한다는 게 여당의 입장"이라며 "야당과도 논의해 조사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성남/김순기기자 ksg2011@kyeongin.com
성남시의회 與 "시의원도 부동산 투기 조사 포함을"
입력 2021-03-14 22:36
지면 아이콘
지면
ⓘ
2021-03-15 8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