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순환센터 마련을 위한 공동협약
28일 인천시청 대접견실에서 열린 '자원순환센터 마련을 위한 광역-기초 지방정부 간 공동협약식'에서 박남춘 인천시장 등 참석자들이 협약서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오흥석 시 교통환경조정관, 이강호 남동구청장, 고남석 연수구청장, 김정식 미추홀구청장, 박남춘 인천시장, 허인환 동구청장, 홍인성 중구청장, 조택상 균형발전정무부시장. 2021.7.28 /인천시 제공

"공항 소각장 있어 증설 어려워"
'신흥동 후보지' 아직 검토 대상

연간60일 정도 정비·보수 고려
'직매립 금지' 대비한 여유 필요
계양·부평, 타권역 처리 관측도

인천시가 2025년 수도권쓰레기매립지 사용 종료와 2026년 수도권 직매립 금지 조치에 대응하고자 추진하는 자원순환센터(소각시설) 확충계획이 본격적인 행정절차에 돌입할 전망이다.

인천시가 28일 중구·동구·미추홀구·연수구·남동구와 체결한 '자원순환센터 마련을 위한 광역·기초 지방정부 간 공동협약'의 핵심은 신설할 자원순환센터 입지 선정과 규모인데, 셈법이 다소 복잡해 보인다.

앞서 미추홀구·연수구·남동구가 구성한 '남부권 자원순환 정책 협의회'는 중구의 생활 폐기물은 영종 지역에서, 동구는 서구 신규 자원순환센터에서 소각하는 방안을 인천시에 대안으로 제시했다. 인천시의 중구 신흥동 자원순환센터 신설 계획은 인근 주민들 반발이 컸기 때문이다.

하지만 영종 지역은 자원순환센터 신설 검토 대상에서 제외됐다. 현재 영종도에는 인천국제공항공사가 공항과 배후단지 폐기물을 소각하는 하루 처리용량 140t 규모의 소각장을 운영하고 있고, 영종 지역 생활 폐기물 일부도 이곳에서 처리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영종 지역은 기존 민간 소각장을 두고 있어 새로운 소각장을 증설하는 게 어렵다는 데 5개 기초단체 구청장들 모두 동의했다"고 말했다.

현재로선 인천시가 예비후보지로 제시했던 중구 신흥동 남항 환경사업소 부지가 아직 유력한 검토 대상지다. 애초 인천시는 남항 사업소 부지에 하루 처리용량 150t 규모의 소각시설 2기를 건립할 구상이었다.

1기는 중구·동구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을 소각하고, 나머지 1기는 다른 권역 소각시설을 보수·수리할 때만 사용하는 예비시설로 활용할 계획이었다.

인천시가 앞으로 구성해 운영할 자원순환센터 입지선정위원회를 통해 새 센터 입지가 바뀐다면 여건에 맞춰 규모도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

지역별 소각 처리용량도 주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다. 중구 영종 지역은 인천공항공사 소각장에서 생활 폐기물을 하루 25t씩 처리하기로 협약된 상태인데, 현재는 그 이상의 생활 폐기물을 소각해주고 있다.

공항공사 소각장에서 생활 폐기물을 정량대로 받을 경우, 나머지 폐기물은 중구·동구 신설 자원순환센터에서 처리해야 한다.

자원순환센터는 상·하반기 통틀어 60일 정도 정비·보수 기간을 가져야 한다. 지금은 정비·보수 기간 수도권매립지에 폐기물을 직매립하면 되지만, 2026년부터는 직매립이 금지돼 여유 용량을 확보해야 한다. 계양구·부평구는 인근 부천시 자원순환센터 광역화로 하루 처리용량 300t을 확보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인천시가 추산하는 2025년 기준 계양구·부평구 하루 처리용량은 283t인데, 정비·보수 기간 여유 용량까지 고려하면 하루 456t이 필요하다. 계양구·부평구 처리용량이 다른 권역으로 넘어가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인천시 관계자는 "부천 자원순환센터가 하루 처리용량 900t 규모로 광역화한다면 보수·정비 기간이라도 600t 규모가 상시 가동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현재 구상대로는 부평구·계양구 생활 폐기물이 다른 권역에서 처리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