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개발특혜 의혹' 사건을 둘러싼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지만 보다 심각한 문제는 이 사건의 실체적 진실에 접근하는 정치권의 태도다. 대선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건의 본말이 어떻게 밝혀지느냐가 대선 승패에 결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국민들은 혼란스러울 뿐이다. 두 거대정당이 상대방 진영을 공격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사건의 일부만 언급하면서 정치공세를 강화한다면 진상 규명은 더욱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대장동 개발 의혹은 수천억원의 막대한 사업 이익이 소수의 민간업자들에게 돌아가는 구조에서 비롯됐다. 그런데 의혹의 중심에 있는 화천대유자산관리 측 인사 상당수가 지난 2011년부터 대장동 일대 민영개발을 추진한 세력과 동일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대장동 민영개발을 추진하다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 반대로 사업이 좌초됐던 민간업자들이 5년 뒤 이 시장의 민관 공동개발에 다시 참여해 '성남의뜰' 출자자인 천화동인 7개 사 중 4개(4~7호)의 주인이 됐다는 의혹이 있다는 것이다. 물론 수사로 밝혀질 일이지만 만약 사실이라면 이 지사가 공영개발을 통해 성남시민에게 개발이익을 돌려줬다는 주장의 명분은 약해질 수밖에 없다. 기존의 민간업자들이 다시 천화동인으로 막대한 이익을 챙긴 구조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성남도시개발공사는 "언론을 보고 천화동인과 화천대유를 처음 접했다"며 "컨소시엄 구성 내역을 공사가 알 수도 알 필요도 없다"고 했으나 설득력이 떨어지는 말이다. 전직 고위 법조인들 다수가 화천대유의 고문과 자문역으로 참여한 것도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다.

부동산 가격이 오른 것을 감안해도 민간업자들이 상식을 벗어난 막대한 불로소득을 챙긴 사실에 대해 성남도시개발공사는 최소한의 유감 표명은 해야 하는 게 도리다. 그리고 더불어민주당이 국민의힘을 토건 비리 세력으로 몰아붙이면서 국면 전환을 시도한다면 이는 정도가 아니다. 민주당이 대장동 개발 사업을 공영개발의 모범적 사례로 말했다가, 다시 토건 기득권 세력의 적폐 또는 비리라고 한다면 앞뒤가 맞지 않는다.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은 결국 수사로 밝혀질 수밖에 없다. 26일 국민의힘 곽상도 의원 아들의 화천대유 50억 퇴직금 의혹이 불거졌다. 대장동 의혹과 관련한 금융거래 전체에 대한 수사가 불가피해졌다. 또 다시 진상이 규명되기 전에 대선 본선에 돌입한다면 그 후폭풍은 감당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