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간 고양시 법곳동·대화지구 도시개발 사업에 대해 민간 개발을 추진해온 지역주민들이 공영개발 소식에 반발(12월15일자 2면 보도=민간개발 추진중… 고양 법곳·대화지구 '공영개발 계획' 주민들 반발)하고 나섰지만, 경기도와 고양시 등은 결국 공영개발로 추진하기로 했다.

도는 난개발 방지 등을 위해 공영개발로 방향을 잡은 것인데, 지역 주민들은 민간 개발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어 해당 개발사업을 둘러싼 잡음은 계속될 전망이다.

道, 난개발 방지·서북부 발전 유도
주민들 민간개발 요구 잡음 따를듯


오병권 경기도지사 권한대행과 이재준 고양시장, 안태준 경기주택도시공사(GH) 사장 직무대행, 김홍종 고양도시관리공사 사장은 21일 '고양 JDS(장항·대화·송산·송포) 공공주도 개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비대면으로 체결했다.

이날 오 권한대행은 "JDS 지구를 공공주도 사업으로 진행해 난개발을 방지하고, 고양시가 경기 서북부 발전을 이끄는 도시로 거듭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은 JDS 지역 2천781만6천㎡ 중 일산서구 법곳동과 대화동, 덕이동 등 506만3천㎡를 신교통수단을 반영한 미래산업 신성장거점 도시로 조성하는 내용이다. 약 6조원의 사업비가 투입될 전망이다. 

 

앞서 고양시는 2008년 9월 '2020년 고양도시기본계획'에서 JDS 지역을 시가화 예정용지로 반영해 개발행위 허가를 제한했다. 그러나 정책 협의 등의 문제로 사업이 동력을 잃으면서 2011년 10월 개발행위 제한이 해제됐고, 높은 개발압력 속에서 소규모 난개발 우려가 커졌다.

이에 도와 고양시는 JDS 지역의 공공주도 개발 추진의 뜻을 모았는데, 해당 사업을 민간 개발로 추진하고 있던 지역 주민들은 지난 14일 기자회견까지 열고 공영 개발에 반발하며 민간 개발을 강력히 요구했다.

도 관계자는 "민간 개발 시 난개발 등의 문제가 있어 공공주도 개발로 방향을 잡았다. 주민들의 반발은 민간이 어떻게 개발 계획 과정에 참여할 것인지를 협의하며 해결할 것"이라고 했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