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시가 자원순환시설(소각장) 이전을 위한 행정 절차에 다시 시동을 걸고 있다.
27일 의정부시에 따르면 소각장 입지 예정지(자일동) 반경 5㎞ 이내 범위에 있는 광릉숲을 대상으로 1년 동안 벌인 주변 환경 생물상(동·식물 현황) 조사가 최근 완료돼 보고서 작성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광릉숲생물권보전지역관리위원회 소위원회가 승인한 계획에 따라 전문가가 참여한 가운데 이뤄진 조사에선 기존 산림청에서 보유한 자료와 비교해 특이사항은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광릉숲 생물상 조사와 더불어 한강유역환경청이 요구했던 자일동 인근 대기질 조사도 완료했다. 시는 두 조사 결과 보고서와 기존에 보완 요구를 받은 내용의 답변을 취합해 내년 1월 한강유역환경청에 다시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대한 협의 의견을 구한다는 계획이다.
부지주변 생물상·대기질 조사 마쳐
내년 한강청에 협의 의견 요청 방침
앞서 시는 기존 장암동 소각장이 내구연한을 넘겨 낡은 데다 도시개발로 처리해야 할 쓰레기가 늘어나자 997억원을 들여 자일동에 하루 220t을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소각장을 계획해 건립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이전 대상지인 자일동 주민은 물론 가까운 의정부 민락, 포천, 남양주 주민 반대에 부딪혔고, 한강유역환경청도 지난 2019년 11월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보완' 의견을 회신함으로써 제동을 걸었다. 광릉숲 생물상 조사와 대기질 조사 등은 당시 한강유역환경청의 요청 사항 중 하나였다.
시는 올 한 해 한강유역환경청의 보완 사항을 충실히 이행한 만큼 내년부터는 소각장 이전 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쓰레기 증가 추세와 장암동 소각장의 보수비용, 가까워지는 수도권매립지의 종료 시점 등을 고려하면 소각장 신설을 더 늦출 수 없다는 것이 시의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지금도 시에서 처리하는 쓰레기가 장암동 소각장의 용량을 훌쩍 넘기고 있다. 주민들의 협조와 이해가 절실한 상황"이라며 "한강유역환경청과 협의를 마치면 중앙환경조정위원회 분쟁조정 절차도 밟아야 해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의정부/김도란기자 dora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