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보당 의정부시위원회는 8일 물류단지 조성, 소각장 신설, 도봉면허시험장 이전, 하수처리장 민영화 등 의정부시가 추진하는 4개 사업의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박정민 진보당 의정부시위원장 등은 이날 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4개 사업들은 시민 반대에 직면해 뜨거운 논란이 되고 있다"며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시장은 현안을 무리하게 밀어붙일 것이 아니라 시민 의견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전면 재검토에 나서라"고 요구했다.
물류단지 '문화융합'과 안어울려
소각장 신설, 인근 주민들도 반발
위원회는 "고산동 물류단지 조성사업은 '복합문화융합단지'라는 취지와 전혀 어울리지 않는 사업으로, 의정부시가 문화도시라는 이름으로부터 점점 거리가 멀어지고 있다"며 "자일동 쓰레기 소각장 신설사업은 자일동 주민들을 비롯해 민락 주민들, 인근 지역인 포천과 양주에서조차 반발하고 있는 사업"이라고 지적했다.
또 "도봉면허시험장은 서울시, 노원구마저 자신들의 행정구역 밖으로 내보내려 안간힘을 쓰고 있으며, 인근 지역인 남양주에서조차 거부됐던 기피시설"이라며 "시는 이런 현실을 무시하고 시의회와의 소통도 건너뛴 채 밀실협약을 체결했다"고 비판했다.
'면허시험장' 현실 무시 밀실 협약
하수처리장 민영화, 민자만 외쳐
"시장 임기말 소통없이 밀어붙여"
이어 "공공하수처리장 민영화 사업 역시 현대화 사업이라는 미명 하에 중앙정부의 지원금 신청은 하지 않고, 민자유치만을 외치며 민영화 방식을 고집하고 있다"며 "말이 좋아 민간자본 유치이지 의정부시가 선택한 BTO-a(손익공유형) 방식은 시민들의 세금으로 원리금 상환, 이자보상을 해야 하는 것으로 그동안의 자료를 보면 수질 평가에서도, 건축물 안전 평가에서도 하수처리장의 전면 재건축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주장했다.
위원회는 끝으로 "의정부시는 이미 경전철 사태로 몸살을 앓았던 경험이 있다"면서 "그러하기에 4대 현안들은 더욱 신중히 검토되어야 하며, 피해가 예상되는 부분들은 더욱 꼼꼼히 살피고 진정성 있게 지역 주민들의 목소리를 경청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정부/김도란기자 dora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