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후 인천 지역 주택의 절반 이상은 30년 넘은 노후 주택일 것으로 전망돼 인천시가 주택재개발·재건축 등 노후 주택 정비사업을 위한 장기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인천연구원이 15일 내놓은 '인천시 주택정비사업 추진 가능성 분석' 보고서를 보면 2020년 인천 지역 주택 수는 102만9천144가구다. 이 가운데 30년 이상 된 노후 주택은 23만1천723가구(22.5%)다.
 

인천 노후 주택은 굉장히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천연구원 연구진이 주택 신축·멸실 등을 고려해 추산한 2040년 인천 주택 수는 132만6천88가구로, 이 중 절반 이상인 72만1천846가구(54.4%)를 30년 이상 노후 주택으로 예상했다. 건축 시점을 고려하면 2040년 노후 주택 대부분은 아파트라는 게 연구진 설명이다.
 

이 같은 추세를 보면 도심 주택정비사업이 앞으로 도시계획 분야에서 중요한 현안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인천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정비사업 구역은 2009년 212곳으로 정점을 찍고 해제·준공으로 계속 줄어들다가 부동산 가격 상승 추세를 타고 2020년부터 다시 늘어나고 있다.
 

정비사업 추진 가능성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택 가격(분양가)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현 상황에서 정비사업이 가장 필요한 중구, 동구 등 구도심 일부 지역은 낮은 주택 가격으로 사업 추진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연구원 연구진이 인천 구도심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주택과 토지 등의 가격을 분석했는데, 중구 10개 지역과 동구 5개 지역 모두 사업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비례율 100%'를 넘지 못한다.
 

인천연구원 민혁기 연구위원은 "구도심은 주거 환경이 점차 나빠지면서 인구가 줄어들고, 이는 다시 지역 주택 가격 하락으로 이어져 정비사업 추진 가능성이 더 낮아지는 악순환에 처하게 된다"며 "개별 사업에 대한 활성화 지원을 넘어서는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정비사업 마스터플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3면(구도심 주거정비 수익성 낮아 '악순환'… 질적 개선 역량 집중을)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