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_이재명.jpg
2일 서울 KBS 스튜디오에서 열린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관하는 제20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3차 사회분야 방송토론회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왼쪽)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토론을 하고 있다. /TV토론 방송화면 캡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일 3차 TV토론에서 '대장동 논란'을 놓고 재차 정면 충돌했다.

이번 토론에서는 상대 후보를 향한 비판성 발언까지 거칠게 쏟아내며 위험 수위를 넘나들었다.

포문은 윤 후보가 열었다.

윤 후보는 이날 주도권 토론에서 "대장동 사건을 시장으로서 설계하고, 검찰이 덮고 있다"면서 "이 후보가 화천대유가 제대로 돈을 벌게 해야 한다는 게 검찰 조사에서 드러났다. 남욱은 검찰 조사에서 이거 언론에 공개되면 이 후보 낙마한다, 이 후보도 우리랑 같이 들어가야 한다고 검찰에 진술한 것이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후보가 대장동 사업에서 1천억만 챙기면 된다고 한 녹취록도 공개됐다. 김만배가 선거법 사건을 대법원에서 뒤집기 위해 대법관에게 재판 로비했다는 남욱의 검찰 진술도 확인이 됐다"며 "국민들은 다 알고 있다. 이런 후보가 아이 키우고 싶은 나라 얘기, 하고 노동 가치 얘기하고, 나라 문제 얘기하는 건 국민을 우습게 보는 처사"라고 쏘아붙였다.

이 후보는 즉각 역공을 폈다.

이 후보는 "벌써 몇 번 우려 먹는데, 국민의 삶을 놓고 이러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대통령 선거 끝나더라도 특검 하자는 거 동의해달라. 거기서 문제가 드러나면 대통령 당선되도 책임져야 한다"면서 "동의 하느냐, 왜 대답을 하지 않느냐"고 윤 후보를 수차례 압박했다.

이에 윤 후보는 "대선이 국민학교 애들 반장선거냐"면서도 "당연히 수사는 이뤄져야 한다"는 답변을 내놨다.

토론회전경3.jpg
2일 서울 KBS 스튜디오에서 열린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관하는 제20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3차 사회분야 방송토론회에서 네 후보들이 토론하고 있다. /TV토론 방송화면 캡처

두 후보 간 언쟁은 갈수록 거칠어 졌다.

이 후보가 "윤석열 후보, 내 카드 하나면 바로 죽는다. 구속된다. 돈 많이 받았다. 이렇게 말한 건 인용 안 하고, 왜 나에 대해서만 확인되지 않은 얘기를 하냐"고 지적하자, 윤 후보는 "그만하라. 중앙지검장할 때 법관 수사를 많이 해서 혹시나 법원에 가게 되면 죽는 거라고 이미 언론에 다 나오지 않았느냐"고 반박했다.

이 후보는 이에 질세라 "그럼 김만배에게 더 이상 도와줄 수 없다고 한 건 뭐냐"고 따져 물었고, 격분한 윤 후보는 "국민들이 다 알고 있고 검찰에서 사건 덮어서 여기까지 왔으면 부끄러워할 줄 알아야지"라고 발언 수위를 강하게 끌어올렸다.

이어 이 후보는 "누가 진짜 몸통인지 한번 봐달라"고 했고, 윤 후보는 "워낙 거짓말의 달인이라 못하는 말이 없다"고 맞불을 놓으면서 두 후보 간 갈등 수치가 최고조를 달렸다.

윤 후보는 이 후보의 성남시장 재직 시절 발생한 '정신병원 입원 사태'를 에둘러 비판하기도 했다.

윤 후보는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를 향해 "정신병원 입원 권한이 지방자치단체장에게 있는데, 이걸 정신병원 전문가위원회로 넘겨야 한다고 했다. 그 공약을 만든 이유와 근거가 뭐냐"며 "이 후보의 정신병원 강제 입원 사건과 관련해 그런 공약을 낸 거냐"고 질의했다.

이에 발끈한 이 후보는 "사실이 아닌 얘기"라며 "그건 경찰이 하는 얘기"라고 강하게 불만을 표출했다.

두 후보간 설전은 마무리 발언까지 이어졌다.

이 후보가 먼저 윤 후보를 겨냥해 "정말 위기다. 부정부패, 주가조작 후보로는 안된다. 당연히 (대장동) 특검을 해야 한다. 책임은 대통령이 돼도 져야 한다고 했는데 (윤 후보가) 동의하지 않는 것 보셨지 않느냐"면서 "이것으로 분명히 결론을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직격했다.

이에 대해 윤 후보는 "저희가 작년 9월부터 특검하자, 또 우리 것도 (특검)할 것 있으면 받자고 했는데 지금까지 다수당이 채택하지 않고 여기까지 왔다. 그러고 선거를 지금 일주일 남겨놓고 또 특검하자 그런다"면서 "이렇게 후안무치하고 부패한 민주당 정권이 집권 연장을 한다는 것은 재앙"이라고 맞받았다.
/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