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김동근 의정부시장 예비후보는 "각종 논란에 휩싸인 고산동 물류센터는 전면 백지화가 답으로, 안병용 시장이 사업을 전면 취소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원만한 해결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예비후보는 지난 18일 인터뷰에서 "고산동 물류센터와 관련해 많은 시민이 분노와 불안을 느끼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김 예비후보는 "고산동 물류센터는 애초 스마트팜 조성 계획이 무산된 후 시민들과 아무런 소통 없이, 민간 사업자만 배 불리는 '땅장사'로 변질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면서 "시민의 안전과 생활이 행정의 최우선 가치라는 사실을 망각하고, 독선과 불통으로 공급자 시각에서 사업을 추진했기 때문"이라고 건축허가를 내 준 의정부시를 비판했다.
그는 의정부시장 출마와 함께 고산동 물류센터 백지화를 공약했다. 김 예비후보는 "초등학교와 불과 200m 떨어진 곳에 교통혼잡과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시설을 허가했다는 것 자체가 상식적으로 말이 안 된다"며 "만약 시장에 당선된다면, 사업 추진 전반에 걸쳐 위법부당한 사실이 있는지 확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예비후보는 일자리 창출을 위해 물류센터가 필요하다는 시의 입장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그는 "최근 물류 유통 분야는 노동력을 로봇과 드론으로 대체하고 있으며 설령 물류센터에서 일자리가 생긴다고 해도 그것은 젊은 세대들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아닐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시는 대형트럭이 야간에 주로 운행해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데, 그 말 자체가 위험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지 않느냐"면서 "고산동 물류센터는 안전 문제 외에도 미세먼지와 소음, 교통체증은 물론 도로 파손과 하수, 폐수, 생활 쓰레기를 발생시켜 시에 재정적 부담을 초래할 시설"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예비후보는 도봉면허시험장 이전 협약에 대해서도 "물류센터와 마찬가지로 안 시장이 결자해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의정부 시민, 장암동 주민의 의견이 철저히 배제됐고, 시의회 의결도 없었다"며 "누구를 위한 협약인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해당 협약을 평가했다. 이어 "이미 의정부에는 면허시험장이 있고, 또 정작 이전의 당사자인 한국도로교통공단과 협의도 마치지 않은 채 서울시, 도봉구에 좋은 일만 시켰다"고 지적했다.
김 예비후보는 '구속력이 없는 협약'이라는 시의 해명에 대해서도 "후임 시장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무책임한 말"이라며 "후임 시장이 협약을 파기할 수야 있겠지만 훼손된 의정부시 행정의 신뢰도는 전임시장이 책임질 수 없는 것 아니냐"고 했다.
김 예비후보는 끝으로 "고산동 물류센터와 도봉면허시험장 이전 협약 모두 도시정책에 대한 기본 방향 없이, 과정 또한 불투명하게 처리됐다는 공통점이 있다"면서 "오는 6월 치러질 지방선거는 지난 12년간의 의정부시정을 시민들이 심판하고, 새로운 리더를 선택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정부/김도란기자 dora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