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십수년 간 지지부진하던 용인 7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이 재개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업 추진 장기화에 재개발을 둘러싸고 원주민들 간 찬반이 엇갈리며 반대 측의 정비구역 해제 요청까지 이어졌으나 최근 용인시에서 해제 불가를 통보, 사업 정상화 분위기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4일 용인시에 따르면 처인구 김량장동 159번지 일원 2만2천646㎡ 부지에 추진 중인 용인 7구역 재개발 사업은 구도심 낙후 지역을 개발해 주거환경을 개선한다는 취지로 2007년부터 추진되기 시작했다. 2007년 최초 기본계획 수립 이후 이듬해 정비구역으로 지정됐으며, 2009년 조합설립인가를 마친 뒤 2011년 사업시행인가까지 마무리됐다.
그러나 이후 관리처분계획 절차를 앞두고 사업 추진은 우여곡절을 거듭하며 10년 넘게 진척을 보지 못했다.
10년 넘게 난항 '구역 해제' 요구
市 '해제 불가' 비대위 측에 전달
최초 선정된 시공사의 파산 이후 소송으로 이어지면서 조합 측은 수십억원의 대여금을 떠안게 됐고 조합장 등 조합 내 임원진까지 사망하는 등 잇따른 암초를 만나며 장기간 사업 추진에 제동이 걸렸다.
조합 측은 2년 전 사업 정상화를 목표로 임시총회를 열고 새 조합장을 선출하며 사업 재추진을 결의했으나, 일부 조합원들이 재개발 추진에 반대하며 별도의 비대위를 구성, 정비구역 해제를 요청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하지만 최근 시는 비대위 측의 정비구역 해제 요청에 대해 관련 조례상 전체 동의율과 추정 비례율 등의 요건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을 근거로 해제 불가 공문을 비대위 측에 발송했다.

여기에 조합 측이 사업 재개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고, 새로 시공사를 선정함으로써 수십억원에 달하는 조합 측의 대여금 문제도 해결한 것으로 알려져 향후 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조합 관계자는 "일부 반대로 인해 사업이 더 늦어진다면 주민들의 개별분담금도 커지게 되므로, 지역의 오랜 숙원사업인 7구역 재개발이 이제는 속도를 내야 할 때"라며 "용적률을 현재 208%에서 용인시 정비기본계획 상한선인 250%까지 올리고, 새로 들어설 아파트 가구 수도 323가구에서 440가구까지 늘릴 예정이다. 주민들을 설득해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용인/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