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민선7기 김포시의회에서 주목받았던 시의원들의 조례연구모임이 '시즌2'라는 명칭으로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 시민 복리증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자치법규를 공부해보자는 취지로 여야를 망라해 결성된 모임이다.
이번 조례연구모임(시즌2)은 김계순 의원을 대표로 한종우·유영숙·배강민 등 재선의원만 4명이 참여해 기대를 모으고 있다.
지난 13일 테이블에 모여앉은 의원들은 민선6기 때 제·개정된 조례를 심층적으로 검토해 현행화하는 것을 기본 연구과제로 정했다. 이와 함께 전국 우수 자치법규 사례 및 최근 타 지자체에서 발의된 이슈조례가 김포에 접목될 수 있는지 분석, 김포 실정에 맞는 '생활 밀착형 제도'를 마련하는 데도 머리를 맞대기로 했다.
조례연구모임(시즌2)은 첫 공식 행보로 최근 장애학생 지도교사와 학부모들을 만나 특수교육지도사 관련 의견을 나눴다. 한 시간 넘게 이어진 대화에서 교사와 학부모들은 장애인 특수교육 지원인력 및 특수학교 부족 문제, 청소년 발달장애인 방과후활동서비스 관련 건의 등 현장의 목소리를 전했다.
이 자리에서 유영숙 의원은 "단기적인 지원일지라도 김포시에서 해줄 방안이 있을지 모임에서 논의해 보겠다"며 "선택과 집중의 복지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종우 의원은 특수교육대상자 지원과 관련해 예산·제도·사업 연계성·인식 개선 등 네 가지 접근방식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정책과 조례개선 검토, 집행부 설득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간담회가 끝나고 김계순 대표의원은 "장애학생 교육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공감할 수 있는 자리였다"며 "장애인을 위한 인식개선 및 세밀한 제도개선 방안 도출을 위해 전문가 강연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이번 조례연구모임(시즌2)은 김계순 의원을 대표로 한종우·유영숙·배강민 등 재선의원만 4명이 참여해 기대를 모으고 있다.
지난 13일 테이블에 모여앉은 의원들은 민선6기 때 제·개정된 조례를 심층적으로 검토해 현행화하는 것을 기본 연구과제로 정했다. 이와 함께 전국 우수 자치법규 사례 및 최근 타 지자체에서 발의된 이슈조례가 김포에 접목될 수 있는지 분석, 김포 실정에 맞는 '생활 밀착형 제도'를 마련하는 데도 머리를 맞대기로 했다.
조례연구모임(시즌2)은 첫 공식 행보로 최근 장애학생 지도교사와 학부모들을 만나 특수교육지도사 관련 의견을 나눴다. 한 시간 넘게 이어진 대화에서 교사와 학부모들은 장애인 특수교육 지원인력 및 특수학교 부족 문제, 청소년 발달장애인 방과후활동서비스 관련 건의 등 현장의 목소리를 전했다.
이 자리에서 유영숙 의원은 "단기적인 지원일지라도 김포시에서 해줄 방안이 있을지 모임에서 논의해 보겠다"며 "선택과 집중의 복지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종우 의원은 특수교육대상자 지원과 관련해 예산·제도·사업 연계성·인식 개선 등 네 가지 접근방식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정책과 조례개선 검토, 집행부 설득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간담회가 끝나고 김계순 대표의원은 "장애학생 교육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공감할 수 있는 자리였다"며 "장애인을 위한 인식개선 및 세밀한 제도개선 방안 도출을 위해 전문가 강연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