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가 출범 1주년을 맞는다. 윤 대통령 취임 1년의 성적표는 역대 정부들에 비해 좋지 않다. 한국갤럽이 지난 2일부터 4일(5월 첫째주) 전국 18세 이상 1천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윤 대통령 직무수행에 대해 긍정 평가는 33%였다.(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 표본오차 95% 신뢰 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 9.2%,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 지난 주에 비해 3%포인트 상승했지만 여전히 낮은 지지율이다. 취임 1년 역대 대통령 지지율은 문재인 전 대통령이 78%로 가장 높았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25%로 가장 낮았다. 김대중 전 대통령 60%, 박근혜 전 대통령 57%, 김영삼 전 대통령 55%, 노태우 전 대통령 45%였다.

지지율은 반등할 수도 있고 더 하락할 수도 있다. 문제는 임기 초임에도 각종 여론조사기관의 조사가 대체로 20% 후반대에서 30% 초반대에 머물고 있다는 점이다. 좀처럼 40%대에 진입하지 못하고 30% 초반대에서 고착화하는 양상을 보이는 이유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지난 1년을 돌이켜 보면 임기 초에 대통령실 이전 문제로 야당과 정쟁을 빚었고, 이태원 참사가 있었으나 책임지는 고위공직자 없이 사건이 마무리되는 양상을 보였다. 여권 내 사정을 보면 국민의힘 이준석 전 대표의 대표직 사퇴를 둘러싼 갈등과 대표 경선에서의 특정 인물 배제에 관여한 듯한 대통령실의 당무개입 논란 등이 지지율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안보·외교에서 한미동맹 강화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평가가 많지만 일본과의 셔틀외교 복원에도 불구하고 기시다 총리 방한 때 그가 어떤 메시지를 내놓느냐에 따라 평가는 엇갈릴 것으로 보인다.

지난 해 방미 후 도어스테핑이 중단된 이후 재개 소식은 들리지 않는다. 취임 1년 기자회견도 생략되는 분위기다. 노동 교육 연금 등 3대 개혁 방침을 밝혔지만 시동조차 걸지 못하고 있다. 고물가, 고금리, 무역수지 적자, 경기침체 등 경제난과 북한과의 강대강 대치는 미국의 핵확장억제에도 불구하고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 여당 지도부의 무능과 대통령실의 독선 등이 개선되지 않으면 향후 지지율 상승을 기대하기 어렵다. 취임 1주년을 계기로 야당과의 협치에 성의를 보이고 언론과도 소통해야 한다. 국정운영방식의 획기적 변화만이 지금의 낮은 지지율을 극복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