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기록원 설립이 본격화된다. 인천시는 지난달 '인천기록원 설립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열었다. 인천기록원은 인천시와 인천지역 10개 군·구, 인천시교육청 등이 생산하는 주요 공공기록물을 영구 보존하는 시설이다. 2007년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면서 시도별 기록물의 영구보존·관리를 위한 지방기록물 관리기관(지방기록원) 설립이 의무화된 지 15년 만이다. 인천기록원에는 현재 77만권 분량으로 추산되는 시 본청과 10개 군·구, 인천시교육청 등에서 생산한 영구보존문서를 우선 보존하게 될 것이다.

인천기록원 설립은 사실 만시지탄이다. 2005년부터 기록원설립 논의가 시작되었으며, 2007년에는 지방기록원 설립을 지원하는 법안까지 제정되었다. 그동안 인천시는 2009년 지방기록원 설립·운영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기록물 수요 예측, 운영 방안, 재원확보 방안 등을 검토했지만, 재원 마련과 관계 부서와의 협의 등 문제로 사업은 중단되고 말았다. 그동안 광역자치단체로는 경상남도기록원(2018)과 서울기록원(2019)이 문을 열었으며 기초자치단체 기록보존소인 청주기록원(2022)도 개원하였다.

지방자치단체의 기록은 행정의 효율화와 책임화, 투명화를 이룰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일이다. 우려스러운 일은 인천기록원 설립 추진 일정이다.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기록원 설립은 내년도 설립타당성조사 의뢰를 거쳐 2030년에 기록관을 설립할 계획이다. 인천시의 중기지방재정계획에 반영되는 과정에서 변수도 있으므로 일정 가능성까지 감안하면 인천기록원 개관은 10년 뒤에 이뤄질 모양이다.

그동안 자체 기록보존소와 기록물 관리 인력이 부재한 관계로 공공기록물들은 체계적으로 보존관리되지 못하고 폐기되거나 손실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 도시연구에 기록물을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으며 수집된 기록물을 교육이나 체험 전시 등의 콘텐츠로 활용하지 못했다.

도시의 공공기록보존소는 단순히 공문서 보관창고가 아니다. 시민들에게 도시 행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수집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아카이브이자 복합문화공간이 되어야 한다. 기록원 설립을 앞당길 수 없다면 개관까지 기록물 관리를 위한 보완 조치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전담기구를 미리 설치하고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을 배치하여 개관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