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jpg
김병수 김포시장. /경인일보DB

서울 지하철 5호선 김포연장 사업이 본격적으로 궤도에 오르기까지는 보좌관 시절부터 이어진 김병수 김포시장의 뚝심이 있었다.

김병수 시장은 21일 오전 강범석 인천 서구청장과 '서울 5호선 김포·검단 연장사업 조속 진행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5호선을 김포로 끌고 오기 위한 마지막 걸림돌을 해소했다.

5호선 김포연장 사업은 '김포한강선'이라는 용어로 홍철호 전 국회의원이 국토교통위원회 소속일 때 처음 명명돼 추진됐다.
홍철호의원 2017년부터 관련법 5개 잇따라 발의
김시장, 보좌관 시절 김포한강선 추진 실무 책임
국가철도망계획서 누락되자 국토부 다니며 '불씨'
건폐장 반대여론만 팽배할 때 현실적 주장하기도
홍철호 전 의원은 지난 2017~2018년 5호선 연장 관련 법안 4건과 2019년 '김포한강선 신속이행법안'을 대표발의하고, 고양과 김포가 유치경쟁하던 시기에는 철도전문가를 투입해 김포에 유리한 0.99의 B/C(비용 대비 편익)값을 유도한 바 있다. 당시 홍 전 의원의 보좌관으로 실무 일선에서 뛴 책임자가 현 김병수 김포시장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서울시는 2018년 8월께 방화차량기지 이전 및 부지활용방안 관련 용역을 통해 검단·김포 쪽으로 연장할 때의 사업성이 가장 좋다는 결과를 도출했고, 같은 해 12월 국토교통부는 3기 신도시 추진에 따른 수도권 광역교통망 개선방안을 발표하며 '한강선(가칭)'을 채택했다.

이어 2019년 10월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가 5호선 방화~인천 검단~김포 누산(24.2㎞) 노선을 포함한 '광역교통 2030 비전'을 발표할 때 홍철호 전 의원이 김포한강선 명명을 요구해 반영됐다.

5호선 김포연장 사업은 그러나 방화차량기지 및 건설폐기물처리장 동시 이전이라는 암초에 부딪혀 속도를 내지 못했다. 건폐장이 빠지면 B/C값이 전혀 나오지 않았는데, 민선 7기 김포시가 '건폐장 절대불가' 방침을 고수하면서 협상이 진전되지 못했다.

2019년 9월 김포골드라인 개통 직후부터 혼잡문제가 시작되고, 이어 2021년 4월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김포한강선이 누락된 채 발표됐음에도 김포지역에는 광역철도망 구축의 시급성보다 건폐장 반대여론이 팽배해 있었다. 이때 김병수 시장은 보좌관 신분으로 "건폐장이 재앙이 아니라 김포한강선이 늦어지는 게 진짜 재앙"이라고 역설하고 나섰다.

2023052101000839600039673.jpg
지난 21일 오전 김포도시철도(김포골드라인) 김포공항역에서 승객들이 이동하고 있다. 2023.4.23 /경인일보DB

김포한강선이 철도망구축계획에서 빠지자 다수의 국토부 관계자를 쫓아다니며 페이퍼를 제출한 것도 김병수 보좌관이었다.

그는 "추가검토사업으로 넣어주든 별표가 됐든 각주가 됐든 어느 한구석에는 반드시 김포한강선을 넣어 달라"고 호소했다. 어디든 포함돼 있으면 추후 변경을 시도할 수 있는데 아예 빠져 있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같은 해 6월 국토부는 이례적으로 철도망구축계획에 5호선 김포연장을 추가검토 사업으로 반영해 불씨를 살렸다.

한동안 시간을 허비하던 5호선 김포연장 사업은 2022년 지방선거에서 김병수 시장이 당선되면서 급물살을 타게 된다. 후보 시절 그는 임기 내에 5호선 김포연장 사업의 착공계획을 잡지 못할 시 차기 선거에 불출마하겠다고 배수의 진을 쳤었다.
지지부진끝 '배수의 진' 김시장 당선으로 급물살
김포신도시·5호선 동시발표 위해 조용히 움직여
정부 설득해서 결과적으로 콤팩트시티 단독추진
서울시·강서구 이어 인천 서구와도 협약 이끌어
지자체 합의 없이는 5호선 연장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김병수 시장은 지방선거 당선 직후부터 합의 성사를 위해 움직였다. 바로 옆 인천시가 김포시 노선에서 많이 벗어난 별도의 노선을 밀고 있었기 때문에 노선 결정에 대한 주도권까지 염두에 두고 있었다.

지난해 김병수 시장은 국토부와 국방부·관내 군부대·서울시·강서구·경기도 관계자들을 수없이 접촉하며 대부분의 미팅을 수행 없이 직접 뛰어다녔다. 새 정부 첫 김포신도시 조성과 5호선 지자체 합의 발표가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지자체 합의 시점을 자체적으로 대략 계획해 놓고 일을 진행할 때 위기도 있었다. 부동산이 급속 하강국면에 접어들자 일각에서 대규모 택지공급에 우려를 표한 것이다. 김병수 시장은 평소 알고 지낸 정부 관계자들에게 "김포는 다르다. 교통만 안겨주면 택지를 넘어설 수 있다"고 설득, 결과적으로 김포 콤팩트시티가 정부계획에 반영됐다.

이 같은 노력을 거쳐 지난해 11월 김포시는 서울시·강서구와 '서울지하철 5호선 김포연장'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같은 날 국토부는 5호선 김포연장의 경제적 타당성 확보조치로 4만6천호 규모의 콤팩트시티 조성계획을 발표할 수 있었다.

2023052101000839600039672.jpg
(왼쪽)김병수 김포시장이 원희룡 국토교통부장관에게 5호선 김포연장사업 경제적 타당성 확보를 위한 택지개발 요청서를 전달하고 있다. (오른쪽)지방선거를 앞두고 오세훈 서울시장을 만나 5호선 현안을 논의하는 김병수 김포시장 예비후보. /김포시·김병수 예비후보 제공
김포 콤팩트시티 광역교통대책인
5호선 연장사업
예타 면제 추진중
김포시가 서울시·강서구하고만 합의에 이르자 인천시는 뒤늦게 '5호선 검단·김포 연장 사전타당성조사 용역'을 별도로 발주하며 자신들만의 노선을 추진할 뜻을 내비쳤다. 이 용역은 올해 9월께나 마무리될 예정으로, 인천시가 자체 도출한 노선을 고집할 경우 5호선 연장은 기약 없이 지연될 상황이었다. 결국 이날 김포시가 인천 서구와도 협약을 맺으면서 사업이 비로소 탄력을 받게 됐다.

대광위는 최대한 빠른 시일에 5호선 노선을 중재할 것으로 보인다. 5호선은 골드라인 혼잡 해소를 위한 유일한 대안으로 지목돼왔으며, 이에 시는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통한 사업의 신속 착공을 추진 중이다.

협약이 끝나고 김병수 시장은 "원희룡 장관의 중재 노력에 감사드린다"며 "김포골드라인 문제를 하루빨리 해소하고자 노력하면서 김포 콤팩트시티 광역교통대책인 5호선 연장사업의 예타 면제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관련기사=5호선 김포연장 마지막 걸림돌 해소...예타면제 가나)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