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2020년 경기·인천 6개 지역에 3기 신도시 건설 계획이 잇따라 발표됐다. 서울 인근에 대규모 공공택지를 개발해 주거난을 해소하고 부동산 가격 안정을 꾀하겠다는 의도에서다. 20차례 넘는 응급처방에도 전국 주택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자, 문재인 정부가 공급억제 정책을 포기한 것이다. 보상이 끝난 인천 계양테크노밸리지구는 지난해 첫 삽을 떴고, 남양주 왕숙1·2지구는 6월 중 착공할 예정이다. 부천 대장, 고양 창릉, 하남 교산, 과천 등 다른 지구들도 순차 착공을 앞두고 있다.

3기 신도시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2028년부터 공동주택 입주가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다. 정부는 3기 신도시 내 택지와 공동주택이 충분하게 공급돼 부동산시장이 안정될 것으로 기대한다. 하지만 부동산 경기침체가 이어지고, 저출산 현상이 심화하는 등 대외 여건이 변화하면서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이다. 여기에 정부가 구상한 광역교통망 확충 사업이 늦어지면서 서울과의 접근성이 떨어질 것이란 우려다. GTX B·C 노선의 경우 사업자 선정 유찰과 지역 민원 등으로 본래 일정보다 착공이 2~3년 지연되게 됐다. 다른 신도시 지역 교통망 계획도 비슷한 실정으로, '선 교통망 확충, 후 입주'가 어려운 실정이다.

3기 신도시는 자족기능을 갖춘 정주 도시로 조성한다는 게 정부 구상이다. 하지만 경기침체와 수도권 규제 등 현실적인 난제가 가로막아 차질이 예상된다. 남양주 왕숙은 바이오메디컬·테크노밸리, 하남 교산은 웰니스 바이오 클러스터를 육성하기로 했으나 아직 입주 기업을 구하지 못했다. 고양 창릉은 뚜렷한 윤곽마저 보이지 않는다. 지방 산단 조성을 위한 공업용지를 확보하려면 국토부 승인이 필요하나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에 속한 지자체들은 이마저도 쉽지 않다.

3기 신도시 건설 계획은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한 고육책이다. 서울과의 접근성을 높이는 광역교통망 확충과 정주 기능 확보에 성패가 달렸다. 그런데 처음 구상했던 교통 및 일자리 사업이 삐걱거리면서 걱정이 커지고 있다. 지자체만의 힘으로는 역부족인 만큼 정부가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GTX 노선 신·증설 문제 해결을 위해선 서울시의 협조를 이끌어내는 데 힘을 보태야 한다. 불편한 교통에 빈약한 산업시설로 인해 베드타운으로 전락한 2기 신도시가 재현돼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