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외동포청 출범을 재외 한인의 정책 효율성을 높이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재외 한인단체들을 중심으로 나오고 있다.
유제헌 유럽한인총연합회장은 "각 대륙과 지역에 필요한 정책을 꼼꼼히 분석하고 세분화해서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며 "과거에는 재외동포 업무를 맡는 기관이 재단 단위이다 보니 맞춤형 정책을 수립·시행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고 말했다.
유 회장은 지난해 재외동포청 인천 설치를 지지하면서 유치전 초반부터 인천시에 큰 힘을 실었다. 그가 이끌고 있는 유럽한인총연합회는 유럽 25개국 한인회로 구성돼 30만명 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재외동포청이 정책 수혜자에게 필요한 방안을 찾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재외 한인과의 소통 창구가 갖춰져야 한다는 게 유 회장 생각이다. 그는 "재외동포청이 재외동포들과 많은 의견을 주고받는 기관이 되길 바란다"며 "더 나아가 재외동포청이 재외동포 의견을 거주지인 본국 정부에 건의할 수 있는 시스템도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재외동포와 정부 간 소통 부재 사례로 재외 국민 투표권 행사가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한인사회가 제도 개선을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점을 언급했다. 재외 국민 투표권은 선거법 개정으로 2012년부터 시행된 제도다. 재외동포 상당수는 대사관 등 투표소가 설치된 곳을 방문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려 투표권 행사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유 회장은 "재외동포들이 한국사회에 가장 크게 자신의 의사를 표명할 수 있는 게 투표"라며 "현장 투표 대신 우편 투표제 도입을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재외동포들이 여러 방식으로 참여할 기회가 많아져야 한다"며 "재외동포청은 한인들이 거주하는 지방도시, 정부와 풀지 못한 문제들도 지원하는 역할을 해달라"고 부연했다.
대사관 등 방문 투표 불편 호소
사업 진행 도움 '동포타운' 요구
"대륙·지역 맞춤정책 수립 필요"
유 회장은 인천시가 동포타운을 조성해 문화·비즈니스 등 재외동포들이 한곳에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구축해 달라고도 주문했다.
재외동포가 한국을 방문해 비즈니스를 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편의성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강영화 대만 가오슝시 한인회장은 "재외동포가 한국을 찾아 원활하게 업무를 볼 수 있도록 재외동포청과 인천시가 지원해야 한다"며 "비즈니스는 물론 의료 등 여러 분야를 지원하는 정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시는 재외동포청 개청을 계기로 인적자산 '1천만 도시 인천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인구 300만의 도시 인천이 전 세계 750만 한인 네트워크의 중심으로 거듭나겠다는 게 인천시 구상이다.
인천시는 ▲재외동포 원스톱 서비스 지원기관 '웰컴센터' 설립 ▲재외동포 전용 주거단지 추가 조성 ▲재외동포 투자·경제활동을 지원하는 '한상비즈니스센터' 설립 ▲주요 한인단체 본부 유치 ▲재외동포 지원 조례 제정 ▲자매·우호도시 확대 등을 추진한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